손호철 "MB 아직도 민심을 공권력으로 잠재우려 하다니"
검찰의 <조중동> 광고끊기 수사 방침 질타
손호철 서강대 교수가 23일 검찰의 조중동 광고끊기 수사 등을 민심 탄압으로 규정하며 이명박 대통령의 특별기자회견의 진실성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손 교수는 이날 <한국일보>에 기고한 '이 대통령의 두 얼굴'이란 칼럼을 통해 지난 19일 이대통령의 특별기자회견과 관련, "이명박식 ‘6ㆍ29선언’이라고 할 수 있는 이번 발표에 대해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등 일각에서는 ‘속이구 선언’에 불과하며 변한 것이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으로 이 같은 반응은 지나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대통령의 변화의지를 일단 받아들이고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여러 정황을 보면 그같은 부정적 반응을 완전히 무시할 수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다시 말해, 여러 면에서 이 대통령의 반성과 혁신약속은 반쪽짜리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그 근거로 이 대통령의 '인터넷 독' 발언을 거론한 뒤, "이는 이 대통령이 민심수습을 위해 마지못해 대국민사과를 했지만 마음 속으로는 아직도 최근의 촛불시위가 일부 불온세력이 인터넷을 통해 광우병에 대한 거짓정보를 유포해 생겨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물론 이 발언이 문제가 되자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발언이 촛불시위와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지적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문제는 이 같은 해명과 달리 대통령의 ‘인터넷 독’ 발언이 있자 말자 공안기관 등이 인터넷 통제에 팔을 걷고 나선 것"이라며 최근 검찰의 <조중동> 광고끊기 수사 방침 등을 문제 삼았다.
그는 특히 광고끊기 운동에 대해 "최근 젊은 가정주부 등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조중동이 촛불시위를 부정적으로 왜곡보도하고 있다면서 이를 바로잡기 위해 조중동에 광고를 내는 기업들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공유해 광고를 중단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조중동 광고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며 "선진국에서 노동착취가 심한 기업의 물건에 대해 불매운동을 하는 등 소비자의 힘을 이용해 사회를 고쳐나가려는 ‘의식 있는 소비자운동’ 내지 ‘프로슈머’(생산자인 프로듀서와 소비자인 컨슈머의 합성어로, 생산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깨인 소비자라는 뜻)운동이 한국의 보수언론에 적용된 것"이라고 이를 '의식 있는 소비자운동'으로 규정했다.
그는 이어 "그런데 이 같은 운동에 대해 검찰이 칼을 뽑고 나선 것"이라며 "아직도 민심을 공권력으로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6월 10일 청와대 뒷산에서 촛불의 행렬을 보면서 뼈저린 반성을 했다는 이 대통령과 신뢰가 담보되지 않은 인터넷은 독이라며 인터넷 통제에 나서는 이 대통령 중 어느 모습이 진정한 이 대통령의 모습이며 우리가 믿어야 하는 것인지 혼란스럽기만 하다"며 "확실한 것은 신뢰가 담보되지 않은 정부는 신뢰가 담보되지 않은 인터넷 이상으로 무서운 독이라는 사실"이라는 경고로 글을 끝맺었다.
손 교수는 이날 <한국일보>에 기고한 '이 대통령의 두 얼굴'이란 칼럼을 통해 지난 19일 이대통령의 특별기자회견과 관련, "이명박식 ‘6ㆍ29선언’이라고 할 수 있는 이번 발표에 대해 광우병 국민대책회의 등 일각에서는 ‘속이구 선언’에 불과하며 변한 것이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으로 이 같은 반응은 지나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대통령의 변화의지를 일단 받아들이고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여러 정황을 보면 그같은 부정적 반응을 완전히 무시할 수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다시 말해, 여러 면에서 이 대통령의 반성과 혁신약속은 반쪽짜리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그 근거로 이 대통령의 '인터넷 독' 발언을 거론한 뒤, "이는 이 대통령이 민심수습을 위해 마지못해 대국민사과를 했지만 마음 속으로는 아직도 최근의 촛불시위가 일부 불온세력이 인터넷을 통해 광우병에 대한 거짓정보를 유포해 생겨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물론 이 발언이 문제가 되자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발언이 촛불시위와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지적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문제는 이 같은 해명과 달리 대통령의 ‘인터넷 독’ 발언이 있자 말자 공안기관 등이 인터넷 통제에 팔을 걷고 나선 것"이라며 최근 검찰의 <조중동> 광고끊기 수사 방침 등을 문제 삼았다.
그는 특히 광고끊기 운동에 대해 "최근 젊은 가정주부 등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조중동이 촛불시위를 부정적으로 왜곡보도하고 있다면서 이를 바로잡기 위해 조중동에 광고를 내는 기업들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공유해 광고를 중단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조중동 광고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며 "선진국에서 노동착취가 심한 기업의 물건에 대해 불매운동을 하는 등 소비자의 힘을 이용해 사회를 고쳐나가려는 ‘의식 있는 소비자운동’ 내지 ‘프로슈머’(생산자인 프로듀서와 소비자인 컨슈머의 합성어로, 생산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깨인 소비자라는 뜻)운동이 한국의 보수언론에 적용된 것"이라고 이를 '의식 있는 소비자운동'으로 규정했다.
그는 이어 "그런데 이 같은 운동에 대해 검찰이 칼을 뽑고 나선 것"이라며 "아직도 민심을 공권력으로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6월 10일 청와대 뒷산에서 촛불의 행렬을 보면서 뼈저린 반성을 했다는 이 대통령과 신뢰가 담보되지 않은 인터넷은 독이라며 인터넷 통제에 나서는 이 대통령 중 어느 모습이 진정한 이 대통령의 모습이며 우리가 믿어야 하는 것인지 혼란스럽기만 하다"며 "확실한 것은 신뢰가 담보되지 않은 정부는 신뢰가 담보되지 않은 인터넷 이상으로 무서운 독이라는 사실"이라는 경고로 글을 끝맺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