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중국특사' 수락에 측근들 강력 반발
6일 박근혜와 회동서 특사 거절해줄 것 요청 예정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5일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중국 특사단장으로 내정됐다.
당 안팎에서는 무엇보다 공천과 관련한 내부 갈등이 전면전 양상으로까지 치닫는 와중에 내려진 이번 결정을 놓고 `쉽지 않은 선택'이라는 평가가 많다. 측근들은 "전혀 몰랐다. 이해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첫 제안은 이 당선자와 박 전 대표의 구랍 29일 회동에서 이뤄졌다고 양측 측근들은 입을 모았다.
두번째 정식 제안 시점은 지난 2일 박 전 대표가 대구를 찾아 이 당선자의 `2월 임시국회 이후 공천' 입장에 대해 "그렇게 뒤로 미룬다는 것은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며 강경 발언을 퍼부은 직후였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낸 유정복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전 대표의 2일 발언에 대한 언론 보도 이후 이 당선자 측에서 제안이 있었다"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 회동에서 의견을 나눈 사안이기 때문에, 국정 운영에는 협조한다는 큰 틀에서 수락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의원은 또 "공천 문제와 관련해선 정치가 제대로 돼야 하고 공천은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돼야 한다는 시각이 있기 때문에 주장을 한 것이고, 그런 부분에 대한 주장은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라며 "특사 문제는 그런 차원의 문제와 연계시켜서 할 사안이 아니라고 판단을 한 것 아니겠느냐. 대선 때에도 자신의 입장은 분명히 하면서도 지원유세 등 도리는 다했지 않았느냐"고 덧붙였다.
공천 시기 등 당내 현안에 대해서는 분명한 목소리를 내면서도, 외교문제를 비롯해 필요한 부분에는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셈이다. 일각에서는 자신의 문제제기가 이 당선자의 `발목잡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기 위한 의도도 있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나왔다.
그러나 측근들이 한결같이 특사 수락을 반대하고 있어 박 전 대표의 중국행이 실제 이뤄질지 주목된다. 측근들은 6일 박 전 대표와 직접 회동을 갖고 특사제안을 거절해 줄 것을 강경하게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약속을 중요하게 여기는 박 전 대표로서 입장을 번복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공천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심각한 상황에서 측근들의 입장이 강경할 경우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한 핵심 측근은 "두분이 회동할 당시에는 공천과 관련해 당선자가 박 전 대표의 입장을 받아들이겠다고 했었고, 지금은 그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면서 "박 전 대표의 모든 1월 행보가 공천 문제와 연결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특사로 나간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측근도 "이 상황에서 특사로 중국을 방문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고, 이해할 수 없다"며 "일단 가겠다고 약속은 한 것 같은데, 특사를 맡지 않는 쪽으로 설득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 안팎에서는 무엇보다 공천과 관련한 내부 갈등이 전면전 양상으로까지 치닫는 와중에 내려진 이번 결정을 놓고 `쉽지 않은 선택'이라는 평가가 많다. 측근들은 "전혀 몰랐다. 이해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첫 제안은 이 당선자와 박 전 대표의 구랍 29일 회동에서 이뤄졌다고 양측 측근들은 입을 모았다.
두번째 정식 제안 시점은 지난 2일 박 전 대표가 대구를 찾아 이 당선자의 `2월 임시국회 이후 공천' 입장에 대해 "그렇게 뒤로 미룬다는 것은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며 강경 발언을 퍼부은 직후였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낸 유정복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전 대표의 2일 발언에 대한 언론 보도 이후 이 당선자 측에서 제안이 있었다"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 회동에서 의견을 나눈 사안이기 때문에, 국정 운영에는 협조한다는 큰 틀에서 수락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의원은 또 "공천 문제와 관련해선 정치가 제대로 돼야 하고 공천은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돼야 한다는 시각이 있기 때문에 주장을 한 것이고, 그런 부분에 대한 주장은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라며 "특사 문제는 그런 차원의 문제와 연계시켜서 할 사안이 아니라고 판단을 한 것 아니겠느냐. 대선 때에도 자신의 입장은 분명히 하면서도 지원유세 등 도리는 다했지 않았느냐"고 덧붙였다.
공천 시기 등 당내 현안에 대해서는 분명한 목소리를 내면서도, 외교문제를 비롯해 필요한 부분에는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셈이다. 일각에서는 자신의 문제제기가 이 당선자의 `발목잡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히기 위한 의도도 있지 않겠느냐는 분석도 나왔다.
그러나 측근들이 한결같이 특사 수락을 반대하고 있어 박 전 대표의 중국행이 실제 이뤄질지 주목된다. 측근들은 6일 박 전 대표와 직접 회동을 갖고 특사제안을 거절해 줄 것을 강경하게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약속을 중요하게 여기는 박 전 대표로서 입장을 번복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공천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심각한 상황에서 측근들의 입장이 강경할 경우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한 핵심 측근은 "두분이 회동할 당시에는 공천과 관련해 당선자가 박 전 대표의 입장을 받아들이겠다고 했었고, 지금은 그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면서 "박 전 대표의 모든 1월 행보가 공천 문제와 연결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특사로 나간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측근도 "이 상황에서 특사로 중국을 방문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고, 이해할 수 없다"며 "일단 가겠다고 약속은 한 것 같은데, 특사를 맡지 않는 쪽으로 설득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