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육군장관 "주한미군, 중국·북한 두 위협에 모두 대응해야"
방한 인터뷰…"가장 큰 안보위협은 드론…한국에 첨단 장비 더 배치"
드리스콜 장관은 1일 경기 평택 주한미군 기지 캠프 험프리스에서 진행된 미디어 간담회에서 '주한미군의 주임무가 중국에 대한 것인가, 혹은 북한에 대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둘 모두 기본적 위협"이라고 답했다.
이는 주한미군을 대북 억제뿐만 아니라 대중국 견제와 대만해협 유사시 투입 등에 활용하도록 하자는 전략적 유연성 확대와 맥이 닿아있다.
그는 "한미 동맹은 수십 년간 이어져 온 특별한 파트너십이 있고 이는 매우 중요하다"며 "다른 동맹에선 찾기 힘든 신뢰를 구축했고 한국군을 믿고 의지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함께 참석한 윌리엄 테일러 주한 미8군사령관 직무대행은 같은 질문에 "동맹의 임무는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가장 강력하고 현대화된 전력을 유지해 인도·태평양의 어떤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드리스콜 장관은 한반도의 가장 큰 안보 위협으로 '드론'을 꼽으면서 향후 한반도에 첨단 무기체계를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1천300만대, 러시아는 400만 대의 드론을 생산하는데, 이는 인류가 직면한 새로운 차원의 위협"이라며 "우리의 중점 과제는 한국과 실시간 정보 공유, 공동 대응, 다층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측은 최근 순항미사일과 드론 등을 요격할 수 있는 차세대 방공시스템 '간접화력방어능력'(IFPC)를 오산 공군기지에 있는 주한미군 제35방공포병여단에 배치했다.
드리스콜 장관은 IFPC 배치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도 언급했듯, 우리의 주요 위협은 이 지역에 있다"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선 강력한 동맹과 첨단 장비 투자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군과 한국군이 최첨단 장비를 운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자산이 이 지역에 전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드리스콜 장관은 "지금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보면 전쟁의 양상이 급변하고 있다"며 "우리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하고, 동맹 및 파트너들과 실시간으로 데이터 공유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과 방산 협력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드론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한국군뿐 아니라 한국의 제조업체, 기술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라며 "이들과 함께 실시간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이 가능한 솔루션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드리스콜 장관은 최근 미 국방부가 4성 장군인 주한미군사령관의 계급을 한단계 낮춰 3성 장군으로 표기한 논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 즉답을 피하면서도 "미 육군은 최근 수십 년간 본부 인원이 과도하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결정이 진행 중이지만, 의사결정 구조를 단순화하고 병력을 전방으로 집중시키는 것이 핵심"이라며 "펜타곤의 과제는 이 비대화를 줄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전쟁부) 장관은 관료주의와 중복되는 지휘 구조를 간소화하겠다며 지난 5월 현역 4성 장군 수를 최소 20% 줄이라고 지시한 바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