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조국의 '2030 극우화' 동의 못해. 성숙도 제일 높은 세대"
"李대통령 호락호락하게 물러날 성격 아니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3일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일부 2030 극우화' 주장에 대해 "나는 2030의 무슨 극우적인 성향으로 간다는 얘기는 동의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채널A '정치시그널'에 나와 "2030이 지금 조국 전 대표에 대해서 상당히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 때문에 조국 대표로서 그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나 이렇게 생각을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2030 할 것 같으면 내가 보기에는 참 성숙도가 제일 높은 세대가 아닌가 이렇게 본다, 교육 수준도 제일 높고, 정보를 접하는 능력도 굉장히 많고"라면서 "그런데 그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뭐냐 하면 공정과 정의, 소위 비민주적인 것에 대해서 굉장히 배타적인 이러한 입장에 있기 때문에 그래서 그 사람들이 조국 대표에 대해서 비판적인 얘기를 한다고 해서 그거를 그냥 몰아쳐서 극우화 현상이라고 한 것은 나는 잘못된 표현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 전 대표의 최종목표가 대통령인 것 같다'고 말했던 것과 관련해선 "그 사람이 처음에 지난 총선 때 정당을 갑작스럽게 만들어서 출현한다고 하는 것은 그러한 뜻이 없으면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았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민주당 대표간 갈등설에 대해선 "내가 보기에는 그렇게 큰 의견차가 지속되지 않을 거다. 어떤 시점을 통해서 우선 대통령과 당과의 관계가 어느 정도 의견 조율이 되면 그때 가서 조율된 의견대로 만들어지지 않겠나. 이렇게 본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성격상 그렇게 그 사람도 호락호락하게 물러날 그런 성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채널A '정치시그널'에 나와 "2030이 지금 조국 전 대표에 대해서 상당히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 때문에 조국 대표로서 그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나 이렇게 생각을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2030 할 것 같으면 내가 보기에는 참 성숙도가 제일 높은 세대가 아닌가 이렇게 본다, 교육 수준도 제일 높고, 정보를 접하는 능력도 굉장히 많고"라면서 "그런데 그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뭐냐 하면 공정과 정의, 소위 비민주적인 것에 대해서 굉장히 배타적인 이러한 입장에 있기 때문에 그래서 그 사람들이 조국 대표에 대해서 비판적인 얘기를 한다고 해서 그거를 그냥 몰아쳐서 극우화 현상이라고 한 것은 나는 잘못된 표현이라고 생각을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 전 대표의 최종목표가 대통령인 것 같다'고 말했던 것과 관련해선 "그 사람이 처음에 지난 총선 때 정당을 갑작스럽게 만들어서 출현한다고 하는 것은 그러한 뜻이 없으면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았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민주당 대표간 갈등설에 대해선 "내가 보기에는 그렇게 큰 의견차가 지속되지 않을 거다. 어떤 시점을 통해서 우선 대통령과 당과의 관계가 어느 정도 의견 조율이 되면 그때 가서 조율된 의견대로 만들어지지 않겠나. 이렇게 본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성격상 그렇게 그 사람도 호락호락하게 물러날 그런 성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