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한동훈 '탄핵 찬성'에 다급히 독대 요청
탄핵국면 중대 분수령. 대통령실, 국정원 차장 폭로에 갈팡질팡
한 대표 측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윤 대통령의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정국 상황을 논의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실제로 두 사람은 이날 오후 한남동 관저에서 회동을 했다.
그간 한 대표의 독대 요청을 일축해온 윤 대통령이 먼저 한 대표에게 독대를 요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친한계가 탄핵 찬성으로 돌아설 경우 7일 저녁 탄핵안 통과가 확실하다는 위기감에 따른 것으로 해석돼, 회동 결과가 향후 정국의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한 대표는 앞서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젯밤 지난 계엄령 선포 당일에 윤 대통령이 주요 정치인들 등을 반국가 세력이라는 이유로 고교 후배인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체포하도록 지시했던 사실, 대통령이 정치인들 체포를 위해서 정보기관을 동원했던 사실을 신뢰할 만한 근거를 통해서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그렇게 체포한 정치인들을 과천의 수감 장소에 수감하려 했다는 구체적인 계획이 있었던 것도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윤 대통령은 이번 사태에 불법적으로 관여한 군 인사들에 대한 인사 조치조차 하고 있지 않고, 여인형 방첩사령관조차 인사조치하고 있지 않다”며 “이번 불법 계엄이 잘못이라고 인정하지도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할 경우에는 이번 비상계엄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이 재현될 우려가 크고, 그로 인해서 대한민국과 대한민국의 국민들을 큰 위험에 빠뜨릴 우려가 크다"며 "대한민국과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윤석열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며 탄핵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대통령은 국회의원 체포·구금을 지시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홍장원 국정원 1차장이 윤 대통령이 한 대표 등을 체포하라고 지시했다고 폭로하자, 서둘러 논평을 취소하는 등 갈팡질팡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