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대통령의 "야만정권" 발언으로 파행을 겪지 않으냐 우려됐던 제6차 6자회담 2단계 회의가 순항하고 있다.
6자회담 참가국들은 27일 첫날 회의에서 북한 핵시설 불능화 및 이에 따른 북한의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및 중유지원에 원칙적 합의를 도출했으며, 28일 비핵화 2단계 조치의 구체적 시한과 방법에 대해 세부적인 조율에 들어간다.
27일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영변 5MW원자로와 재처리시설, 핵연료봉제조공장 등 북한 핵시설을 연내 불능화하고 북한이 보유한 일체의 핵프로그램을 연말까지 신고하기로 합의했다.
그 대신 2.13합의에 따라 불능화.신고 이행의 대가로 한.미.중.러 등 4개국은 북한에 중유 95만t 상당의 경제.에너지 지원을 하고, 미국은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고 북한에 대한 적성국교역법의 적용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미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27일 북-미양자회담 및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의 1시간에 걸친 6개국 전체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6자회담 참가국들은 북한 핵시설 불능화 방법에 대략적인 합의에 이르렀다"면서 "내일쯤 이번 회기의 공동성명 초안이 회람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동성명에는 (불능화와 신고를 위한) 보다 구체적 시한과 중유 제공 방법 등 세부적인 사안들이 담길 것이며 신고 대상에는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과 플루토늄 양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천영우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도 "북한 핵 불능화와 관련, 북한의 의도와 다른 참가국들의 희망 사이에 아직도 이견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북한이 결과 도출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고 다른 나라들 역시 결과 도출을 원하고 있어 이 같은 이견을 극복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6자회담의 쌍두마차인 크리스토퍼 힐 미국무차관보와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이 환한 미소를 짓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