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英전문가 “北, 국제금융제체 완전 편입 가능한지 의심”

“北,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 종식되지 않았다고 판단”

북한은 여전히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이 종식되지 않았다고 보고 북한이 국제금융체제에 편입이 가능한지에 대해 의심하고 있다는 한반도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한성렬 전 북한 유엔 주재대사를 영국에 초청한 영국 캠브리지 대학 동아시아 연구소의 존 스웬슨-라이트 박사는 5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한성렬 전 대사의 발언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여전히 국제금융체제에 북한이 완전히 편입될 수 있을 지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국제거래 정상화와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 은행 문제 해결은 별개의 문제라는 것이라는 점에서 최근 북한 당국은 경제회생과 국제경제체제 편입에 무척 신경을 쓰고 있다”며 “이번 한성렬 전 대사의 발언도 그런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이해가 간다. 개인적인 견해지만 영국도 북한에 대한 개입정책을 지지하고 있고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을 환영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성렬 전 대사는 지난 4일 채덤하우스 강연회에서 “미국의 대북 경제제재가 완전히 풀리지 않았으며 북한이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서도 빠져야 한다”며 “북미관계 정상화는 미국이 정말 북한의 핵문제를 풀려는 목적과 의지가 있는 지 봐야 한다. 미국 측 태도에 달렸다”고 말했었다.

한성렬 대사의 강연회에 참석한 채덤하우스의 중국 전문가 이이 루(Yiyi Lu) 박사는 “북한의 시각은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이 여전하다는 것이었다”며 “한 전 대사는 최근 미국이 북한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켜 BDA 북한자금 문제가 해결됐다고 해도 미국의 근본적인 북한에 대한 생각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본다. 여전히 미국의 대북정책은 적대 정책이 중심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루 박사는 “이 날 강연회에 특이한 점은 한 전 대사의 강연 내용과 질의응답 시간에 거의 중국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이라며 “한 전 대사가 6자회담에서 중국의 역할은 주최국으로서 회담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북한의 서먹한 관계를 느낄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중국이 최근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에 찬성을 한 것 등이 그 배경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