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文대통령 "한중 경제협력 패러다임 새로워져야"

중국에 경제협력 위한 '3대원칙-8대 협력방안' 제시

중국을 국빈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동북아의 책임있는 국가로서 중국과 한국이 힘을 모아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함께 대응해 나갈 것을 희망한다. 이를 위해, 양국의 경제협력 패러다임도 새로워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중국 베이징 조어대에서 열린 '한-중 비즈니스 포럼' 연설에서 "최근 양국관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경제인 여러분들의 마음고생이 심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하며 '3대원칙-8대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우선 '새로운 25년의 경제협력을 위한 3대 원칙'으로 ▲경제협력 제도적 기반 강화 ▲양국 경제전략에 입각한 미래지향적 협력 ▲사람중심 협력을 제시했다.

이어 '8대 협력방향'으로는 ▲안정적 경제협력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교역분야 다양화 및 양국 교역 질적 성장 도모 ▲미래 신산업 협력 강화 ▲벤처 및 창업분야 협력 확대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환경 분야 협력 ▲인프라 사업의 제3국 공동진출 ▲사람중심 민간 교류.협력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FTA와 관련해선 "발효 3년 차인 한중 FTA는 양국 경제협력의 근간"이라며 "양국 기업들이 실질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FTA 이행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검역, 통관, 비관세 장벽 등 교역의 문턱을 더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환경 분야 협력은 양국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한국은 대기 정화 분야에서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기 저감 기술을 중국의 제철과 석탄화력 분야에 적용하는 실증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앞으로 대기‧수질 관리, 폐기물 처리, 청정 생산 공정을 위한 생태산업 단지 개발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사업을 만들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자신의 신북방정책, 신남방정책과 중국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의 일대일로 구상을 언급하며 "양국 공통의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한-중 기업 간 장점을 결합한 제3국 공동진출을 제안한다"며 "수단 신공항 건설, 두바이 팜 게이트웨이 건설, 에콰도르 정유공장 건설 등 이미 한-중 공동진출 성공사례들이 있다. 한국 정부는 한-중 공동투자기금을 통해 양국 기업 간 제3국 공동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