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야당들에 "추경, 이번에는 봐주시는 거죠"
인사청문회 언급 안해, 바른정당-국민의당 "진정한 협치 보여달라"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국회 추경시정연설에 앞서 여야 지도부를 만나 일자리 추경안에 대한 국회의 협조를 당부했다.
청와대와 여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박주선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를 만나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짧은 회동 시간 탓에 야당들의 입장을 경청하고 추경안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 뒤 급히 자리를 떴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국가재정법상 추경은 어렵게 해놨는데 매년 깨고 있다. 그 점은 명확히 해야한다"며 "추경을 너무 졸속으로 하는 경향이 많아서 요건을 따져야하고 내용도 따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인사논란에 대해선 "국민통합을 자주 말씀하셨는데 장관 11명 중에 9명이 선대위에 참여하고, 말하고 안 맞는 것 같다. 진짜 탕평정책에 맞는 사람을 앉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주선 비대위원장은 "진정한 의미의 협치는 방문하고 협치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게 아니다"라며 "협치 실현을 위해 진정성과 의지를 보여달라. '선협의 후결정'하는 시스템적 협치요건을 달성해달라"고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잘 알았다. 추경은 이번에는 봐주시는 거죠"라며 야당들에 적극적 협조를 당부했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정부에서 인사에 관한 5대 원칙을 내걸었다. 그래서 이 인사원칙을 좀 더 구체화하는 걸 서둘러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5대 인사원칙’이라는 것이 구체화되는 과정에서는 과태료 수준도 있을 것이고 면허취소 수준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인사청문회 협조, 정부조직법 개편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추경에 집중하기 위해 애초 그렇게 결정했다. 인사청문회나 정부조직법 개편안까지 언급하는 것 여러 주제를 흐릴 수 있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와 여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박주선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를 만나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짧은 회동 시간 탓에 야당들의 입장을 경청하고 추경안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 뒤 급히 자리를 떴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국가재정법상 추경은 어렵게 해놨는데 매년 깨고 있다. 그 점은 명확히 해야한다"며 "추경을 너무 졸속으로 하는 경향이 많아서 요건을 따져야하고 내용도 따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인사논란에 대해선 "국민통합을 자주 말씀하셨는데 장관 11명 중에 9명이 선대위에 참여하고, 말하고 안 맞는 것 같다. 진짜 탕평정책에 맞는 사람을 앉혔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주선 비대위원장은 "진정한 의미의 협치는 방문하고 협치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게 아니다"라며 "협치 실현을 위해 진정성과 의지를 보여달라. '선협의 후결정'하는 시스템적 협치요건을 달성해달라"고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잘 알았다. 추경은 이번에는 봐주시는 거죠"라며 야당들에 적극적 협조를 당부했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정부에서 인사에 관한 5대 원칙을 내걸었다. 그래서 이 인사원칙을 좀 더 구체화하는 걸 서둘러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5대 인사원칙’이라는 것이 구체화되는 과정에서는 과태료 수준도 있을 것이고 면허취소 수준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인사청문회 협조, 정부조직법 개편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 "추경에 집중하기 위해 애초 그렇게 결정했다. 인사청문회나 정부조직법 개편안까지 언급하는 것 여러 주제를 흐릴 수 있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