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년' 김무성 "국민에게만 지는 당대표 되겠다"
"상향식 공천 반드시 성사", "선진화법 폐지해야"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행한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 새누리당의 방향을 '3고'로 표현하고자 한다. 후진적인 정치를 바꾸'고', 어려운 경제를 살리'고', 다가오는 선거에서 승리하'고'라는 의미"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당청관계에 대해선 "당 대표가 되면서 '정치는 결국 국민의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렸다. 이를 통해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뒷받침하고, 새누리당의 정권재창출을 이뤄내겠다고 다짐했다"면서 "새누리당은 '국정의 90%는 경제'라는 인식하에 정부와 보조를 맞춰 경제활성화에 최우선적으로 역점을 두겠다"고 몸을 낮췄다.
그는 당내 계파간 최대 쟁점인 내년 총선 공천과 관련해선 "1년 전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기 위해서 당 대표가 되려고 한다'고 공약했다. 이 자리에서 다시 한 번 약속드린다"며 "내년 총선에서 상향식 공천제를 반드시 성사시켜, 공천권을 당원과 국민 여러분께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야당에 대해 "공천 혁명은 여·야가 함께 해야 성공할 수 있다. 야당에서 일부는 전략공천을 하고, 나머지는 상향식 공천을 한다는 데 그렇게 해서는 국민이 바라는 공천 개혁을 이뤄낼 수 없다고 확신한다"며 "여·야가 같은 날 동시에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실시할 것을 야당에게 다시 한 번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저는 1년 전 여야대표가 정기적으로 만나 대화할 수 있는 '공존정치 회의체' 신설을 제안했다"며 "여야간의 소통을 위한 저의 제안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여야 영수회담 정례화를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그러나 야당이 강력반대하는 국회선진화법에 대해선 "소수 독재가 정당화되고 법안 연계투쟁이 일상화되면서 '망국법', '소수독재법'이라는 비난을 듣고, 국정의 발목을 잡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면서 "내년 총선에서 어느 당이 승리할지 모른다. 그런 만큼, 19대 국회가 끝나기 전에 국회선진화법 개정에 동참해줄 것을 야당에게 강력히 제안한다"며 폐지를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