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스톱' 편의점주들 "노예계약에 빚만 졌다"
"새누리, 편의점법 왜 통과 안시키나", "가게 와 일해봐라"
경기도 안양에서 미니스톱 편의점을 운영하는 이 모씨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우원식 최고위원 등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의원들을 찾아 "가맹본부와 가맹점주들의 상생방안을 찾아달라. 일방적으로 폭력을 당하고 있다"며 "일방적인 가맹점주의 희생을 요구하는 이 불공정한 계약을 막을 법을 왜 통과시키지 않나. 이번에 통과시켜 달라"고 가맹사업거래의공정화에관한법률의 6월국회 처리를 호소했다.
그는 "분명히 매출은 있는데 가맹점주는 일하면서 손해를 보고 있다. 왜 정당한 이익 분배를 받지 못하는지 알 수 없다"며 "2년동안 총매출이 6억9천만원이고 순이익이 1억8천만원이었지만, 회사가 우리에게 가져다 준 돈은 3천만원이다. 영업비용 8천3백만원, 이것 저것 붙여서 다 빼갔다. 3천만원에서 알바비를 주고 나면 우리가 2년간 가져온 돈이 없다. 지금은 빚만 더 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는 "분명히 사기였다. 가맹본부의 욕심이고 경제폭력이고 사기계약"이라며 "가맹본부는 물품을 공급하고 판매 및 매장운영, 영업관리등 일체를 가맹점주에게 전적으로 다 비용을 떠넘기고 있다. 24시간 영업을 고수하면서도 24시간 최저임금 비용 320만원을 주지 않는다. 점주에게 판매비용을 전혀 주지 않으려는 노예계약"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소송이 불리하게 끝난다면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유언장을 작성하고 각 방송국 신문사에 보도자료를 발송하고 분신자살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경기도 파주에서 미니스톱 편의점을 운영하는 정경희 씨도 "새누리당에서는 회사말을 안들어서 (우리가) 이런 식으로 됐다고 하는데 우리 가게에 와서 한번 일을 해보라고 하고 싶다"며 새누리당을 비난했다.
그는 "출산으로 병원에 입원 중에 본사 관리자가 발렌타인행사 물품을 강제 발주해 출산한지 한달도 안되서 미니스톱의 미송금 독촉에 점포로 출근해 아기를 계산대 뒤에 눕혀놓고 장사를 했다"며 "CU나 세븐일레븐 등은 폐점을 요청하면 바로 처리해준다고 하는데, 미니스톱은 '마음대로, 법대로 하라, 그것은 권고사항일 뿐이지 안해도 된다'고 이야기한다"고 울먹였다.
김복순 미니스톱가맹점주협회 대표는 "본사에는 도매 이익에서 돈 벌고, 각종 영업비 강제시켜서 돈 벌고, 위약금 해서 벌고, 재고 상품 이자에서 번다. 점주는 수익이 날 수 없고 마이너스가 될 수 밖에 없다"며, 구체적으로 "미니스톱은 가맹사업법에도 없는 매출대금을 송금하게 하고, 점주들이 송금할 수 없는 불가피한 경우에는 그것을 미송금 처리해서 이자를 받는다. 하루에 1만원 받는데도 있고 5만원 받는데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양도제한이란 조항을 넣어서 위약금 장사를 한다. 한 점포당 위약금을 계산하면 2천~3천만원에서 많게는 5천~6천만원"이라며 "점주들 수익금에서 재고 상품에 대한 이자를 받고 있고, 점주 몰래 강제 발주하고, 반품이 안되는 물건을 계절상품이라고 밀어놓기 하고, 계절상품 행사가 끝나면 창고에 집어 넣게하고 상품으로 인정 안하고 그 이자를 받는다"고 울분을 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