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안보실장 백종천, 외교1차관 조중표 임명
안보수석 윤병세, 외교2차관 김호영 임명 외교안보 인사 마무리
노무현 대통령은 30일 통일외교안보라인 인사를 추가로 단행, 대통령 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장관급)에 백종천 세종연구소 소장(63), 대통령 비서실 안보정책수석에 윤병세 외교부 차관보(53)를 임명했다.
또 외교통상부1차관에 조중표 외교안보연구원(54), 외교통상부2차관에 김호영 유엔 거버넌스센터 원장(52)를 임명했다.
청와대 “남북관계, 한미동맹 등 외교안보 분야 조정력 기대”
백종천 소장의 안보실장 발탁에 대해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통일.외교.안보 분야에서 지난 40여년간 쌓아온 전문성과 경륜을 바탕으로 남북관계와 한미동맹 등 산적한 현안을 해결해 나갈 안보실장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윤병세 안보수석의 경우 "NSC사무처 정책조정실장을 역임해 외교안보부처간 조정력을 겸비하고 있어 안보수석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조중표 외교부 제1차관과 김호영 제2차관 발탁에 대해 윤 대변인은 "조 내정자는 아태지역 전문성과 경륜을 바탕으로 미국 전문가인 장관 내정자를 잘 보좌할 것으로 기대하며, 김 내정자는 조직.인사.혁신 분야 전문성과 대외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제2차관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의 이날 인사로 인해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 내정자와 이재정 통일부 장관 내정자, 김만복 국정원장 등을 포함해 통일외교안보라인 재구성 작업이 사실상 완료됐다.
백 실장은 목포고를 나온 육사 22기 출신. 육사 교수부장 등 군에서 30여년 재직한 후 예편, 국방정책학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통일정책평가위원장, 정책기획위원회 통일외교분과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고, 2000년부터 지금까지 세종연구소 소장으로 재임, 대통령 국방발전자문위원과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등으로 활동했다.
또 윤병세 신임 안보정책수석은 외교부 북미1과장, 북미국 심의관, 주미공사, NSC사무처 정책조정실장 등을 역임한 미국 전문가로, NSC에 근무하는 동안 외교안보부처간 조정 역할을 담당했다. 백 안보실장과 윤 안보수석 모두 이종석 전 통일부장관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교1차관에 임명된 조중표 차관은 송민순 외교부장관 내정자(외사 9기)보다 외시가 회 빠르다. 주일·주중 대사관 정무참사관, 아태국장, 주일공사, 바른역사기획단 부단장을 역임해온 아시아·태평양지역 전문가.
외교 2차관에 임명된 김호영 차관은 행정자치부 출신으로 외부 인력 수혈이 거의 없었던 외교부에 이례적인 인사로 평가된다. 노 대통령의 천거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김 차관은 행정자치부 조직혁신국장·행정관리국장, 중앙인사위원회 인사관리심의관 등을 거친 조직.인사.혁신전문가로서 유엔거버넌스센터의 한국 설치와 제6차 정부혁신 세계포럼의 개최를 주도했다.
다음은 신임 외교안보라인 임명자 프로필
▲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백종천(63), 목포고-육사 22기-미 노스캐롤라이나대 정치학 박사,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세종연구소 소장(현)
▲ 안보정책수석 윤병세(53), 경기고-서울대 법대-미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학 석사, 외시 10회, 외교통상부 주제네바대표부-외교통상부 주미대사관 공사-외교통상부 차관보(현)
▲ 외교통상부 제1차관 조중표(54), 경복고-서울대 영문학과, 외시 8회, 외교통상부 아태국장-외교통상부 주일대사관 공사-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장(현)
▲ 외교통상부 제2차관 김호영(52), 동국대 사대부고-성균관대 행정학과-서울대 행정학 석사, 행시 21회, 중앙인사위 인사관리심의관-행정자치부 조직혁신국장-정부혁신세계포럼준비 기획단장-유엔 거버넌스센터 원장(현)
또 외교통상부1차관에 조중표 외교안보연구원(54), 외교통상부2차관에 김호영 유엔 거버넌스센터 원장(52)를 임명했다.
청와대 “남북관계, 한미동맹 등 외교안보 분야 조정력 기대”
백종천 소장의 안보실장 발탁에 대해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통일.외교.안보 분야에서 지난 40여년간 쌓아온 전문성과 경륜을 바탕으로 남북관계와 한미동맹 등 산적한 현안을 해결해 나갈 안보실장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윤병세 안보수석의 경우 "NSC사무처 정책조정실장을 역임해 외교안보부처간 조정력을 겸비하고 있어 안보수석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조중표 외교부 제1차관과 김호영 제2차관 발탁에 대해 윤 대변인은 "조 내정자는 아태지역 전문성과 경륜을 바탕으로 미국 전문가인 장관 내정자를 잘 보좌할 것으로 기대하며, 김 내정자는 조직.인사.혁신 분야 전문성과 대외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제2차관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의 이날 인사로 인해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 내정자와 이재정 통일부 장관 내정자, 김만복 국정원장 등을 포함해 통일외교안보라인 재구성 작업이 사실상 완료됐다.
백 실장은 목포고를 나온 육사 22기 출신. 육사 교수부장 등 군에서 30여년 재직한 후 예편, 국방정책학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통일정책평가위원장, 정책기획위원회 통일외교분과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고, 2000년부터 지금까지 세종연구소 소장으로 재임, 대통령 국방발전자문위원과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등으로 활동했다.
또 윤병세 신임 안보정책수석은 외교부 북미1과장, 북미국 심의관, 주미공사, NSC사무처 정책조정실장 등을 역임한 미국 전문가로, NSC에 근무하는 동안 외교안보부처간 조정 역할을 담당했다. 백 안보실장과 윤 안보수석 모두 이종석 전 통일부장관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교1차관에 임명된 조중표 차관은 송민순 외교부장관 내정자(외사 9기)보다 외시가 회 빠르다. 주일·주중 대사관 정무참사관, 아태국장, 주일공사, 바른역사기획단 부단장을 역임해온 아시아·태평양지역 전문가.
외교 2차관에 임명된 김호영 차관은 행정자치부 출신으로 외부 인력 수혈이 거의 없었던 외교부에 이례적인 인사로 평가된다. 노 대통령의 천거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김 차관은 행정자치부 조직혁신국장·행정관리국장, 중앙인사위원회 인사관리심의관 등을 거친 조직.인사.혁신전문가로서 유엔거버넌스센터의 한국 설치와 제6차 정부혁신 세계포럼의 개최를 주도했다.
다음은 신임 외교안보라인 임명자 프로필
▲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백종천(63), 목포고-육사 22기-미 노스캐롤라이나대 정치학 박사,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대통령직속 국방발전자문위원회 위원-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세종연구소 소장(현)
▲ 안보정책수석 윤병세(53), 경기고-서울대 법대-미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학 석사, 외시 10회, 외교통상부 주제네바대표부-외교통상부 주미대사관 공사-외교통상부 차관보(현)
▲ 외교통상부 제1차관 조중표(54), 경복고-서울대 영문학과, 외시 8회, 외교통상부 아태국장-외교통상부 주일대사관 공사-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장(현)
▲ 외교통상부 제2차관 김호영(52), 동국대 사대부고-성균관대 행정학과-서울대 행정학 석사, 행시 21회, 중앙인사위 인사관리심의관-행정자치부 조직혁신국장-정부혁신세계포럼준비 기획단장-유엔 거버넌스센터 원장(현)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