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주택담보대출 부실비율, 6년래 최고
건설사 연쇄도산으로 기업대출 부실도 급증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부실비율이 6년래 최고로 높아지는 등, 부동산거품 파열에 따른 금융 부실화가 현실화되기 시작한 양상이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국내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 여신비율)은 0.67%로 집계됐다. 이는 2006년 6월의 0.71% 이후 최고치다.
전체 가계대출 부실비율도 0.76%로 2006년 9월의 0.81% 이후 가장 높았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집단대출(아파트 분양자가 입주하기 전에 받는 중도금이나 이주비 대출)의 연체율은 1.37%로 1년 전 0.85%에 비해 급등하면서 전체 부실비율 증가를 견인했다.
주택담보대출 부실과 함께 부동산 불황 장기화에 따른 건설업체 연쇄도산으로 기업대출 부실도 급증했다.
올해 2분기 은행권의 신규 부실채권은 6조9천억원으로 2010년 3분기의 9조7천억원 이후 1년9개월만에 가장 많다. 이 가운데 기업대출의 신규 부실이 5조4천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가계대출 및 신용카드 신규 부실은 1조3천억원와 2천억원에 그쳤다.
특히 기업대출은 부실건설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이 대거 부실로 분류된 결과 부실비율이 6월 말 11.22%까지 치솟았다.
은행들은 부실채권이 늘자 2분기에만 부실채권을 7조원어치 정리하면서 수익률이 급감했다. 하지만 이같은 금융 부실은 이제 시작이라는 게 금융게 안팎의 지배적 관측이어서 은행들을 긴장케 하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국내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고정이하 여신비율)은 0.67%로 집계됐다. 이는 2006년 6월의 0.71% 이후 최고치다.
전체 가계대출 부실비율도 0.76%로 2006년 9월의 0.81% 이후 가장 높았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집단대출(아파트 분양자가 입주하기 전에 받는 중도금이나 이주비 대출)의 연체율은 1.37%로 1년 전 0.85%에 비해 급등하면서 전체 부실비율 증가를 견인했다.
주택담보대출 부실과 함께 부동산 불황 장기화에 따른 건설업체 연쇄도산으로 기업대출 부실도 급증했다.
올해 2분기 은행권의 신규 부실채권은 6조9천억원으로 2010년 3분기의 9조7천억원 이후 1년9개월만에 가장 많다. 이 가운데 기업대출의 신규 부실이 5조4천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가계대출 및 신용카드 신규 부실은 1조3천억원와 2천억원에 그쳤다.
특히 기업대출은 부실건설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이 대거 부실로 분류된 결과 부실비율이 6월 말 11.22%까지 치솟았다.
은행들은 부실채권이 늘자 2분기에만 부실채권을 7조원어치 정리하면서 수익률이 급감했다. 하지만 이같은 금융 부실은 이제 시작이라는 게 금융게 안팎의 지배적 관측이어서 은행들을 긴장케 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