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재향군인회(회장 박세직)는 17일 박세환(66ㆍ예비역 육군 대장) 향군 부회장이 향군의 정치활동 논란에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고 밝혔다.
향군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박 부회장이 9월 12일 전시작전통제권 단독 행사에 반대하는 500만명 서명운동 성명서 발표 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내용을 낭독한 책임을 지고 사퇴키로 했다”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지난 12일 보수진영인 선진화국민회의 주최로 열린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반대 5백만 범국민 서명운동 기자회견에 참석해 “전시작전권 단독행사 추진이 이뤄지더라도 내년에 재협상을 공약하는 대선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게 해 기필코 차기 정권이 재협상하도록 할 것”이라는 기자회견문을 낭독했었다.사퇴한 박 부회장은 2군 사령관을 지냈고 한나라당 국회의원도 지낸 바 있다.
전시작통권과 차기 대선을 연계하겠다는 박 부회장의 이같은 행보는 향군의 정치활동을 금지하고 있는 향군법(제3조)을 위반한 것 아니냐는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해당 기자회견문을 작성한 선진화국민회의 사무총장 서경석 목사는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서 목사는 15일 사과문을 통해 “급하게 기자회견이 준비되었고 또 준비가 마지막 순간에 마쳐지면서 낭독자가 기자회견문을 사전에 한번 읽어볼 시간도 갖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이 시정되지 않은 채 나가게 되었다”고 밝혔다.
향군은 “사퇴를 만류했지만 박 부회장이 750만 회원과 향군조직의 정치적 중립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살신성인의 정신으로 사의를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향군은 전시작통권 환수 논의 중단 범국민 서명운동에는 계속 참여한다는 입장이다.
박 부회장의 사퇴는 국가보훈처가 향군의 정치중립 위반에 제재를 가할 뜻을 내비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유철 국가보훈처장은 지난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향군이 안보에 대해 말은 할 수 있지만 대선 후보 지지 발언은 정치적 발언”이라며 “제재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2일 선진화국민회의 주최의 전시작통권 환수 반대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물러난 박세환 향군 부회장.(왼쪽) 뒤편으로 전직 외교관을 대표해 이 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유지호 전 예멘대사. ⓒ뷰스앤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