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도 MB에게 '세종시 출구전략' 주문
<조선> 이어 조중동에서 두번째, '세종시 수정론' 설땅 더 좁아져
김진국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이날자 사설 '이제 충분히 할 만큼 했다'를 통해 YS정권 3년차인 지난 1995년 YS가 JP를 축출한 결과 "결국 JP는 자민련을 만들어 독립했고, 지방선거에서 민자당은 참패했다. 그 다음해 총선에서 이기긴 했지만 보수대연합세력은 늪으로 빠져들었다"며 "결국 DJP(김대중-김종필)연합과 정권교체, 10년간의 민주당 정권이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간 전면전이 분당으로 이어질 경우 '유사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낸 셈.
그는 "이 대통령은 전임 대통령들과 다른 점도 많다. 촛불시위로 집권 초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친서민 행보와 원전 수주, G20 정상회의 유치 등으로 2년 차에 오히려 지지율이 급등했다. 원칙을 지켜도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 다 같은 집권 3년 차가 아니라고 자신할 수도 있다"고 이 대통령을 치켜세우면서도 "그러나 벌여놓은 과제가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당장 세종시 문제에서부터 4대 강 사업, 정치개혁, 행정구역 개편에 개헌 문제까지 아직 정리되지 않고 남아 있다. 신보호주의 안에 놓인 경제와 일자리, 북핵과 남북 정상회담 등 엄청난 과제들이 놓여 있다"며 "6월 지방선거나 7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8월 전당대회로 이어지는 정치일정은 이런 국정과제들을 헝클어놓을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제 해야 할 일과 버려야 할 일을 가를 때가 됐다. 3년 차면 국정의 흐름을 장악해 의욕이 넘칠 때지만 남은 기간 완성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럴수록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며 "가장 먼저 정리할 것은 세종시 문제"라며 세종시 출구전략을 주문하기 시작했다.
그는 "원안론자건 수정론자건 논리와 명분을 충분히 설명했다. 남은 건 정리하는 절차"라며 "그 길도 명확하다. 국회가 만든 법은 국회가 결론을 내는 게 대의제에 맞다. 합의가 안 된다면 표결을 하는 것도 불가피하다"며 국민투표가 아닌 국회표결을 통해 결론을 낼 것을 주문했다. 현재 야당들과 친박의 반대로 세종시 수정법의 국회 통과가 불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세종시 수정 포기를 주문한 셈이다.
그는 결론적으로 "그래도 안 된다면 수정안을 접는 수밖에 없다. 표결로 결론을 내건, 포기하고 다음 대통령에게 넘기건 마무리할 때가 됐다"며 "솔로몬의 여인처럼 정치적 이해보다 국정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어린아이의 손을 놓는 수밖에 없다"며 거듭 이 대통령에게 세종시 수정 포기를 주문했다.
조중동 가운데 <조선>과 <중앙> 두 매체가 세종시 출구전략을 주문하고 나서면서 세종시 수정론자들의 설 땅은 더욱 좁아지는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