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개 대표건설 부채비율 429%...1000% 넘는 곳도 7개
건설-금융 동반부실 위기 직면, 정부 미봉책으로 일관
우리나라의 대표적 건설사 41개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를 포함한 부채비율이 400%를 넘고, 1000%를 넘는 곳도 7개사나 된다는 충격적 보고서가 나왔다.
10일 굿모닝신한증권이 발표한 보고서 <디레버리징(자금회수)의 신용이슈>에 따르면, 신용등급 BBB- 이상 41개 건설사의 재무제표를 합산한 부채비율은 189%에 불과하나 PF 우발채무를 포함한 수정부채비율은 42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중에는 수정부채비율이 1000%를 넘는 건설사도 7개나 됐다.
국내의 대표적 건설사 상황이 이런만큼 중소형 건설사들의 상황은 더 심각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보고서는 특히 과잉 차입의 핵심인 PF의 상당 부분이 금융기관의 추가 차입에만 의존하는 고정화 상태로 건설사-금융권 동반부실화 위험이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 PF의 60% 이상이 분양 전에 건설사들에 대출된 것이고, 분양된 사업장도 절반가량이 분양률 50%를 밑돌아 정상적인 순환이 끊어진 상태다. 결국 단계적 회수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20%도 되지 않고, 나머지는 사실상의 고정화 상태로 심각한 부실화 위기에 직면해 있다.
건설대출 부실은 곧바로 금융권 부실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은행의 산업대출에서 건설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파트값이 오르기 시작한 2001년 말 10.8%에서 2008년 6월말 현재 25.9%로 두배반이나 폭증했다.
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위험이 커 종전에 종전에 저축은행이 주로 담당하던 분양전 브릿지론 시장에도 2006년말 주택담보 대출규제 강화후 진출, PF대출 중 브릿지론 비중이 평균 3분의 1을 넘어섰다. 브릿지론은 현금유입은 없고 각종 비용만 들어가 매년 20% 가까이 대출액이 늘어나야 한다.
보고서는 "건설 부문의 높은 레버리지와 금융 부문의 건설 신용위험 노출이 모두 임계점을 넘으면 상황이 급격히 악화하는데 이미 우리는 그 문턱을 밟고 있다"며 건설-금융 동반 부실화를 우려했다.
보고서는 "현재 위기를 극복하려면 건설, 금융의 선(先) 자구노력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당국이 건설 부실이 금융으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수요 확대와 유동성 공급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정부가 미봉책으로 일관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10일 굿모닝신한증권이 발표한 보고서 <디레버리징(자금회수)의 신용이슈>에 따르면, 신용등급 BBB- 이상 41개 건설사의 재무제표를 합산한 부채비율은 189%에 불과하나 PF 우발채무를 포함한 수정부채비율은 42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중에는 수정부채비율이 1000%를 넘는 건설사도 7개나 됐다.
국내의 대표적 건설사 상황이 이런만큼 중소형 건설사들의 상황은 더 심각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보고서는 특히 과잉 차입의 핵심인 PF의 상당 부분이 금융기관의 추가 차입에만 의존하는 고정화 상태로 건설사-금융권 동반부실화 위험이 심각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 PF의 60% 이상이 분양 전에 건설사들에 대출된 것이고, 분양된 사업장도 절반가량이 분양률 50%를 밑돌아 정상적인 순환이 끊어진 상태다. 결국 단계적 회수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20%도 되지 않고, 나머지는 사실상의 고정화 상태로 심각한 부실화 위기에 직면해 있다.
건설대출 부실은 곧바로 금융권 부실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은행의 산업대출에서 건설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파트값이 오르기 시작한 2001년 말 10.8%에서 2008년 6월말 현재 25.9%로 두배반이나 폭증했다.
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위험이 커 종전에 종전에 저축은행이 주로 담당하던 분양전 브릿지론 시장에도 2006년말 주택담보 대출규제 강화후 진출, PF대출 중 브릿지론 비중이 평균 3분의 1을 넘어섰다. 브릿지론은 현금유입은 없고 각종 비용만 들어가 매년 20% 가까이 대출액이 늘어나야 한다.
보고서는 "건설 부문의 높은 레버리지와 금융 부문의 건설 신용위험 노출이 모두 임계점을 넘으면 상황이 급격히 악화하는데 이미 우리는 그 문턱을 밟고 있다"며 건설-금융 동반 부실화를 우려했다.
보고서는 "현재 위기를 극복하려면 건설, 금융의 선(先) 자구노력이 필요하다"며 "그러나 당국이 건설 부실이 금융으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수요 확대와 유동성 공급에만 치중하고 있다"며 정부가 미봉책으로 일관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