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할인 아파트 속출...'땡처리' 가속
버블세븐도 첫 분양가 인하, 거품 파열 빨라질듯
고분양가-과잉공급에 따른 미분양대란이 급속 확산되자, 건설사들이 마침내 미분양아파트 분양가 할인에 본격 나섰다. 특히 지방뿐 아니라 버블세븐 지역에서도 분양가 할인 조치가 나와, 아파트값 하락을 가속화하는 작용을 할 전망이다.
버블세븐중 한 곳인 경기도 용인에서 분양가를 할인한 아파트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비공개적으로 할인 혜택을 준 아파트는 여러 곳 있으나 공식적으로 분양가를 낮춘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일토건은 지난 4월 경기도 용인시 신봉도시개발지구에서 분양한 '신봉 동일하이빌'(총 1462가구) 미분양 아파트(868가구)의 분양가를 4~10% 인하키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신봉 동일하이빌'의 분양가는 3.3㎡당 평균 1천547만원에서 1천460만원 대로 낮아지고 가구당 최고 9천850만원(206㎡·62평형)에서 최저 2천50만원(111~112㎡·33평형)까지 할인받는다.
신봉 동일하이빌 당시 분양가는 용인 성복지역 주변 시세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그후 용인 아파트값이 급락하자 미분양 아파트 분양가를 낮추기로 한 것. 동일토건은 기존 분양가의 반발을 막기 위해 기존 계약자들의 분양가도 동일한 수준으로 낮춰주기로 했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도 분양가 할인이 본격화하고 있다.
신영은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에 공급하는 '왕십리 지웰'의 분양대금 중 60%를 선납하는 계약자에게 전체 분양가의 12.5%를 한 달 안에 돌려주고 있다. 여러 건설업체도 최근 미분양이 급증하고 있는 김포 등에서 분양가를 낮추고 있다.
앞서 풍림산업은 지난달말 대전시 대덕구 석봉동의 '금강 엑슬루타워' 2천300여 세대에 대한 분양결과 단 3명만이 달랑 지원하자, 지난 6~8일 계약분에 한해 분양가를 25% 깎아주는 파격적 행사를 단행한 결과 평균 경쟁률 1.5 대 1을 기록해 상당수 미분양물량을 해소한 것으로 알려진다.
건설업체의 분양가 할인은 더이상 고분양가를 고집할 수 없는 벼랑끝에 몰렸기 때문이다. 특히 2천300여가구 분양에 달랑 3명만 참가한 '풍림 사태'가 건설업계를 큰 충격에 몰아넣은 것으로 알려진다. 더이상 시장의 반란을 외면했다가는 생존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 빠져든 것.
그러나 소비자들은 일부 할인을 했으나 아직도 분양가가 높다는 판단을 하고 있어, 이들 건설사들의 분양가 할인 경쟁은 아파트값 거품 파열을 가속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귀추가 주목된다.
버블세븐중 한 곳인 경기도 용인에서 분양가를 할인한 아파트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비공개적으로 할인 혜택을 준 아파트는 여러 곳 있으나 공식적으로 분양가를 낮춘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일토건은 지난 4월 경기도 용인시 신봉도시개발지구에서 분양한 '신봉 동일하이빌'(총 1462가구) 미분양 아파트(868가구)의 분양가를 4~10% 인하키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신봉 동일하이빌'의 분양가는 3.3㎡당 평균 1천547만원에서 1천460만원 대로 낮아지고 가구당 최고 9천850만원(206㎡·62평형)에서 최저 2천50만원(111~112㎡·33평형)까지 할인받는다.
신봉 동일하이빌 당시 분양가는 용인 성복지역 주변 시세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그후 용인 아파트값이 급락하자 미분양 아파트 분양가를 낮추기로 한 것. 동일토건은 기존 분양가의 반발을 막기 위해 기존 계약자들의 분양가도 동일한 수준으로 낮춰주기로 했다.
서울 등 수도권에서도 분양가 할인이 본격화하고 있다.
신영은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에 공급하는 '왕십리 지웰'의 분양대금 중 60%를 선납하는 계약자에게 전체 분양가의 12.5%를 한 달 안에 돌려주고 있다. 여러 건설업체도 최근 미분양이 급증하고 있는 김포 등에서 분양가를 낮추고 있다.
앞서 풍림산업은 지난달말 대전시 대덕구 석봉동의 '금강 엑슬루타워' 2천300여 세대에 대한 분양결과 단 3명만이 달랑 지원하자, 지난 6~8일 계약분에 한해 분양가를 25% 깎아주는 파격적 행사를 단행한 결과 평균 경쟁률 1.5 대 1을 기록해 상당수 미분양물량을 해소한 것으로 알려진다.
건설업체의 분양가 할인은 더이상 고분양가를 고집할 수 없는 벼랑끝에 몰렸기 때문이다. 특히 2천300여가구 분양에 달랑 3명만 참가한 '풍림 사태'가 건설업계를 큰 충격에 몰아넣은 것으로 알려진다. 더이상 시장의 반란을 외면했다가는 생존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 빠져든 것.
그러나 소비자들은 일부 할인을 했으나 아직도 분양가가 높다는 판단을 하고 있어, 이들 건설사들의 분양가 할인 경쟁은 아파트값 거품 파열을 가속화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