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원, '축재-로비 과정' 의혹 확산
이재오 홈피에 3월 '김종원 비리폭로 투서'도 올라와
"지지선언 전 이미 그는 한나라당 대선 선대본부의 교통수석부위원장이었다. 당시 캠프에서 일했던 한 의원은 '김 이사장이 캠프에서 일을 맡게 해달라고 했고, 이재오 전 의원의 강력한 추천으로 그 직책을 맡았다'고 말했다."(2일 <한겨레>)
비례대표 공천을 받기 위해 김윤옥 여사 사촌언니 김옥희씨에게 30억원의 돈을 건넨 것으로 알려진 김종원 서울버스운송조합 이사장을 둘러싼 의혹의 불똥이 이재오 전 의원에게 번질 조짐을 보여, 이 전의원측을 펄쩍 뛰게 만들고 있다.
이재오측 "김종원과 친분 두텁다고? 말도 안되는 소리"
이 전의원의 핵심 측근은 2일 본지와 통화에서 "김종원 이사장이 이재오 대표와 친분이 두텁다는 얘기는 금시초문"이라며 "물론 이 대표의 정치적 위치를 볼 때 김 이사장과 한번이라도 만났을 수도 있고, 알 수도 있겠지만 그런 식으로 따지면 문제 있는 사람이 생길 때 이 대표하고 접촉했거나 안다고 엮으면 한 두 명이겠나"라고 반문하며 펄쩍 뛰었다.
그는 "이재오라는 사람을 너무 모르는 말이다. 그는 기본적으로 50만원 이상의 후원금이 들어오면 돌려보내는 사람이다. 아무리 친한 지인이 후원을 해와도 편지를 써서 '마음만 받겠다'고 정중하게 사양해 온 사람이다. 이 대표가 그렇게 살아온 사람"이라며 "정말 그렇게 이 대표가 이번 사건에 연루됐다면 그 사람이 공천이라도 받았어야 하는 거 아닌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실제로 김종원 이사장의 비례대표 공천로비가 '실패한 로비'라는 점을 보면, 그를 이재오 전의원과 연결짓는 것은 무리수로 보인다. 이 전의원이 대선때 전국 조직을 총괄하는 위치에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가 130만명의 전국 교통관련 종사자들 모임의 대표로 있던 김 이사장을 알 개연성은 높으나, 그 사실만 갖고서 이 전의원에게 의혹의 눈길을 던질 수는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3월에 이재오 홈피에 '김종원 비리 폭로' 투서 실리기도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비례대표 공천경쟁이 치열하던 지난 3월중순 이 전의원의 홈페이지에 김종원 이사장의 비리 의혹을 상세히 전하며 절대로 그에게 공천을 줘선 안된다고 주장하는 이 전의원 지지자의 폭로성 글이 올라왔었다는 사실이다.
ID '암행어사'는 지난 3월12일 이 전의원의 홈페이지에 올린 '신중한 비례대표 선발을...'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정말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해서는 안될 인물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라며 "서울시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의 김종원 이사장이 비례대표로 국회의원이 되어서는 안될 인물"이라며 문제의 김 이사장을 거론했다.
그는 "겉으론 안 그런 척 하면서 마을버스에서 전환된 전환 시내버스 업체들을 자기것으로 만들고자 온갖 부도덕한 작태를 부리고 있습니다"라며 "예를 들어 전환업체 모업체의 동대문지점이 수입금 횡령사고가 발생되자 어떠어떠해서 인수를 해서 다른 지점 업자들을 운영할 수 없도록 온갓 횡포를 부리며, 또다른 횡령업체를 값싸게 인수할려고 모정의 수작을 꾸미며, 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한 사업자는 당연직 버스운송사업조합원이 되어야 하나 많은 돈을 요구하며 가입을 막고 있으며, 시내버스 운송사업조합은 비영리 특수법인임에도 마치 수익단체인양 가입을 여러 모로 못하도록 막는 장본인 이사장입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횡령업체의 과징금 징수에 있어서 조합원은 솜방망이 처벌을 하고 비조합원인 전환버스업체는 망치로 강하게 처벌하여 불이익을 주는등 공정치 못한 처리를 한 장본인"이라며 "또한 어려운 전환버스 업체들로부터 매달 대당 2만원의 돈을 징구하여 업무처리비용 명목으로 받아가고 있는 등 부도덕한 행위를 수도 없이 저지르고 있는 사람"이라며 김 이사장에게 절대로 비례대표 공천을 줘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문제의 글은 2일 현재에도 이 전의원 홈페이지에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 동종 버스업계에서 올라온 것으로 추정되는 이 글은 버스업계내에 김 이사장 비판세력이 상당히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이 이 전의원에게 김 이사장과 거리를 둘 것을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석연치 않은 축재 과정, 평소 실세들 이름 떠벌려
실제로 버스업계에서는 김 이사장의 축재 과정 및 이번 파문 등에 대해 강한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버스업계에 따르면, 김 이사장은 평소 이명박 정권의 여러 실세들과의 친분을 떠벌려 왔으며, 지난 3~4월에는 마치 자신이 이미 비례대표 의원이 된 것처럼 업계내에서 행세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기도 하다.
때문에 버스업계에서는 김 이사장이 단순히 김윤옥 여사의 사촌언니를 친언니로 잘못 알고 속아 그의 재력으로 볼 때 상당히 무리가 가는 30억원이란 거액을 건넸다는 김 이사장의 주장을 믿기 힘들다는 반응이 중론이다.
수사부 배당 등을 놓고 야당들로부터 '축소 수사' 공격을 받고 있는 검찰이 오해를 벗기 위해서라도 철저한 수사를 통해 명백히 밝혀야 할 의혹들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