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기자협회보> "<조중동> 광고, 60%이상 격감"

방송광고 하락은 1.7% 그쳐, "네티즌들의 광고끊기 운동 탓"

<조중동>의 6~7월 광고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0% 이상 격감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0일 <기자협회보>에 따르면, <기자협회보>가 <조중동>의 6~7월 주요 신문광고 게재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6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네티즌들의 <조중동> 광고끊기 공세가 시작되기 전인 지난 5월과 비교해선 40~50%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조선일보>의 경우 올 6월9일부터 7월8일까지 1백16건의 주요 기업광고를 수주, 지난해 같은 기간 2백86건에 비해 60%나 급감했다.

<동아일보>는 같은 기간 1백7건을 수주, 전년(2백89건) 대비 63% 줄어들며 더 낙폭이 켰다. <중앙일보> 역시 1백3건을 수주, 전년(2백64건) 대비 61% 떨어졌다.

이런 광고급감 현상은 당초 <조중동> 광고국이 예상했던 전년 대비 10% 하락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6월 초 활발했던 네티즌들의 조·중·동 광고주 압박운동의 여파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기자협회보>는 분석했다.

그러나 네티즌들의 광고주 압박운동이 최고조에 달했던 6월12일 전후보다는 상황이 나아진 편이며, <한겨레> <경향신문> 등 여타 신문도 대동소이한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민영 방송광고판매대행사(민영미디어렙)의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신문업계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영 미디어렙이 추진될 경우 자율경쟁으로 방송사의 신문광고시장 잠식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반면 방송광고는 소폭 하락해 대조를 보였다. 한국방송광고공사의 방송사별 광고신탁 현황에 따르면, 6월 방송광고는 전년 동월 대비 1.7% 하락했고 5월에 비해서는 9.9% 떨어진 것으로 나왔다.

올해 6월 TV광고 총액은 2천1백1억원, 전년 총액은 2천1백48억원이었다. 47억원 안팎의 감소율이다. 올해 5월 광고 총액 2천3백48억원과 비교하면 2백억원가량 줄어든 것이다.

<기자협회보>의 10일자 통계. ⓒ<기자협회보>
임재훈 기자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42 16
    조중동

    늦어도 명박이 퇴임할때
    같이 폐간되겠구나

  • 40 20
    정일

    조중동이 투사가 될거야
    미군이 너그 밥그릇 보장해 줄거란 편견을 버려.

  • 18 31
    ㅋㅋㅋ

    경 축
    화환보내야지 않나요?
    근조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