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손학규 “이명박 정책, 교육 본질 훼손 우려”

민생현장 방문 통한 민심 파고들기

손학규 대통합민주신당 대표는 18일 민심을 파고들기 위한 민생현장 방문지로 서울 오현초등학교와 번동중학교를 택했다.

오현초등학교는 교육복지투자(교복투) 지원 사업으로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교육의 기회를 보장해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번동중학교는 지역 대학생의 과외 봉사활동으로 학원을 다니지 않는 학생들의 성적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다. 결국 두 학교 모두 교육의 기회를 보장받지 못한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실천하고 있는 셈.

손 대표는 송경헌 오현초교 교장과 선생님들을 만난 자리에서 “우리 교육이 요즘 평준화 교육이냐 수월성 교육이냐 양분법적인 논리로 하는데, 교육하면 삼불정책 찬성하느냐 안하느냐 이런 양도절단식의 논리는 교육의 철학을 상당히 해치는 일”이라며 “우리 교육의 당면 목표는 공교육의 회복과 정상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는 자립형 사립학교나 특목고를 부정하는 사람은 아니다”며 “그런데 그것이 공교육과 일반인들의 위화감이나 특수층 자녀들을 위한 배타적 학교가 아니고 능력 있는 학생들이 기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교육정책을 우려했다.

그는 “새 정부에서 너무 한꺼번에 외형적인, 양적인 팽창만 줘 벌써 사회적인 심리효과를 부정적으로 미치는 게 벌써 학원이 뛴다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그것은 잘 못한 것”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그는 교복투 사업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이 교육의 기회인데 저소득층 자녀들에게 아주 우수한 교육의 기회를 주는 것이야말로 국가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높이 평가했다.

그는 또 인수위원회의 교육부를 인재과학부로 통폐합 된 것에 대해 “인재과학부라 하면 자칫 거기서 풍기는 교육의 개념은 교육을 하나의 기술로, 기능으로 또 거기서 배출된 사람은 하나의 기능인으로 이런 개념의 왜곡이 오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교육경쟁력 강화도 중요하지만 경쟁력과 능력과 효율만으로 교육 전부를 생각하면 교육의 본질은 훼손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번동중학교에서 아이들의 보충학습을 위해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성균관대학교 동아리 ‘푸른사과’ 학생들을 만나 “젊어서 하고 싶은 일이 많을 텐데, 과외나 학원에 가기 어려운 아이들을 가르쳐주고 있다”고 격려했다.

그는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전공 학생들의 다양한 방안을 청취한 뒤 “학생 선생님들한테 핵심적인 우리나라 교육의 과제를 들은 것 같다”며 “교사와 학생간의 인간적인 교류, 학생들에게 생각할 기회 필요, 교사 (1인당) 학생 비율 감축 등 학생들이 어린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을 지적한 것 같다”고 높이 평가했다.
김달중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