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日총리의 "한일 신협력 구축해야"에 중국 발끈

<환구시보> "냉전시대로 돌아가자는 거냐"

중국 관영 언론들은 24일 일본의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가 한국에 북한과 중국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협력관계 구축을 제의했다는 교도 통신의 보도에 대해 그 실현 가능성을 낮게 보면서도 경계의 눈초리를 보냈다.

중국 인민대학 국제관계학원 외교학과 황다후이(黃大慧) 부주임은 이 날짜 당기관지 인민일보 국제논단에 실린 기고문에서 한일 양국간의 복잡미묘한 관계를 설명하면서 한일관계가 기본적으로 여전히 취약점이 많기 때문에 간 총리의 제의가 성사되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기고문은 한일이 ▲경제발전 수준과 정치체제가 비슷하고 가치관과 문화적인 면도 가까운 점이 많고 ▲북한핵에 따른 안보 우려가 있으며 ▲한일과 서로 동맹인 미국이 한일의 협력 강화를 중재하고 있어 새로운 협력 강화의 필요성이 높다고 말했다.

기고문은 그러나 한일 간에는 최근 간 총리의 한일합방에 대한 사과를 계기로 관계가 개선되고 있지만 불시에 양국관계를 격화시키는 도화선이 되고 외교적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역사문제와 영유권 분쟁의 해묵은 체증이 증거하듯 간 총리의 말한마디로 해소될 수 없는 간극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고문의 논조가 중국을 공동 대응 목표로 삼자는 일본측 제의에 대해 간접적으로 경계를 표시한 것과 달리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와 그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공동 사설에서 이 구상을 직접 비난하고 일본정부에 역사에서 교훈을 배우라며 냉정을 촉구했다.

공동 사설은 일본 측의 구상은 냉전시대때 한.미.일 삼각 동맹과 북-소-중의 북부 동맹간의 대결 구도를 연상케 한다고 비난하고 이는 동북아 질서를 크게 위태롭게 하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사설은 간 총리 내각에 이런 구상을 지지하는 세력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은 남북 공동의 적이었던 일본의 개입 부담을 받아들일 것같지 않기 때문에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의미를 축소했다.

사설은 이어 일본은 과거 냉정을 잃고 참담한 결과가 난 것을 교훈으로 삼아 정부관리가 대외에 발표를 할때나 정부가 대외정책을 수립할 때 냉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사설은 또 중국이 대국으로 우뚝 일어서고 있는데 대한 한일 양국의 불안을 이해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중국은 한일 양국과 교류를 강화, 그들의 신뢰를 얻고 오해로 인한 재난을 방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