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신임차관 절반이 '영남' 출신
靑 "부족한 부분은 실장급 후속인사에서 보완할 것"
이명박 대통령이 13일 단행한 차관 및 차관급 인사 23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1명이 영남지역 출신인 것으로 나타나, '영남 편중 인사' 논란이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북이 5명, 경남 4명, 부산 2명 등 영남권 출신이 모두 11명에 이르렀다. 특히 경남부산(PK)이 경북보다 많은 것은 6.2지방선거에서 표출된 PK 민심이반에 대한 다독이기 성격이 짙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서울과 강원, 충남 등은 각 3명이었으며 전남이 2명, 전북은 1명이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부처별로 출신지역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했다"고 주장하면서도 "그러나 부족한 부분은 실장급 후속인사에서 보완할 계획"이라고 덧붙여, 영남 편중 인사를 우회적으로 시인했다.
김 대변인은 차관급 인선 기준과 관련, "원칙적으로 임기가 1년 6개월이 넘은 부처와 장관 승진으로 공석이 된 부처를 중심으로 했다"며 "주요 인선기준은 대내외 소통을 강화하고 각종 정책의 균형되고 안정감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했고, 장관이 외부 전문가일경우 차관을 내부승진, 장관이 내부발탁이면 차관은 외부전문가를 기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공직사회 안정과 사기진작을 위해 신망과 능력 뛰어난 실장급을 다수 승진시켰고 투철한 국가관, 공직관을 바탕으로 실력을 인정받은 외부전문가도 발탁했다"며 "또 장관과의 팀워크를 중시해서 장관들이 추천한 인사를 최대한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지역별로 보면 경북이 5명, 경남 4명, 부산 2명 등 영남권 출신이 모두 11명에 이르렀다. 특히 경남부산(PK)이 경북보다 많은 것은 6.2지방선거에서 표출된 PK 민심이반에 대한 다독이기 성격이 짙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서울과 강원, 충남 등은 각 3명이었으며 전남이 2명, 전북은 1명이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부처별로 출신지역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했다"고 주장하면서도 "그러나 부족한 부분은 실장급 후속인사에서 보완할 계획"이라고 덧붙여, 영남 편중 인사를 우회적으로 시인했다.
김 대변인은 차관급 인선 기준과 관련, "원칙적으로 임기가 1년 6개월이 넘은 부처와 장관 승진으로 공석이 된 부처를 중심으로 했다"며 "주요 인선기준은 대내외 소통을 강화하고 각종 정책의 균형되고 안정감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했고, 장관이 외부 전문가일경우 차관을 내부승진, 장관이 내부발탁이면 차관은 외부전문가를 기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공직사회 안정과 사기진작을 위해 신망과 능력 뛰어난 실장급을 다수 승진시켰고 투철한 국가관, 공직관을 바탕으로 실력을 인정받은 외부전문가도 발탁했다"며 "또 장관과의 팀워크를 중시해서 장관들이 추천한 인사를 최대한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