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북한의 남북관계 단절? 이상한 일"
"매우 강력하고 단호한 국제적 대응이 돼야"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통한 북한의 `남북관계 단절' 발표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북한의 조치는) 이상한 일"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크롤리 차관보는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를 가진 국가 중 하나지만, 북한은 심지어 그들 스스로도 인정하는 실패한 경제를 가진 국가"라면서 "북한은 자신들의 주민을 돌보고 먹여살릴 능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대북 대응조치와 관련, "매우 강력하고 단호한 국제적 대응이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중국 방문을 통해 북한 상황과 관련해 "솔직하고 자세한 논의를 가졌다"면서 "계속 긴밀한 협의를 갖기로 약속한 것에 대해 만족한다"고 말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이어 "우리는 다양한 옵션들을 검토할 것"이라면서 "적절한 대응을 위해 공동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남북간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추가적인 (북한의) 도발들을 보고 싶지 않다"면서 "북한 지도부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행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찾기 위해 역내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의 독자적 대북조치와 관련, "경제적 조치와 관련해 독자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있다"면서 추가 금융제재 등을 거듭 시사했다.
이와 관련, 그는 "우리는 과거에 이를 성공적으로 실행했으며, 북한 정권에 압력을 넣는 방법들을 찾았다"면서 "이런 방안들이 (북한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런 조치를 취하는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문제에 대해 "분명히 많은 사람들이 제기하는 문제로 이를 재검토하고 있다"면서도 사실에 근거해 이 문제가 다뤄질 것이며, 특정한 결과를 예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한편, 백악관도 북한의 남북관계 단절 선언을 비판하며 북한이 천안함 사건에 대해 투명해질 것을 촉구했다.
벤저민 창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부대변인은 북한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사실'을 제시해야 한며, 더 큰 고립을 자초할 수 있는 공격적이고 위협적인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창 부대변인은 또 최근 발표한 백악관과 국무부의 성명을 언급하며 한국에 대한 백악관의 '분명한'(unequivocal) 지지 입장도 재확인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