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前고위직 "백령도에 우리 기뢰 100여개 남아 있어"
"70년대 중반에 설치한 기뢰, 10%도 회수 못해"
12일 발매된 <한겨레21>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전직 해군 최고위급 인사는 “1970년대 중반 서해에 긴장이 높아지면서 1976년 박정희 대통령이 ‘백령도를 요새화하라’고 지시했고 이 명령에 따라 미군 폭뢰를 개조한 기뢰 136개를 설치했다”며 “10년 뒤 안전사고를 우려해 회수할 때 채 10%도 회수하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한겨레21>은 이 인사를 “소위로 임관해 기뢰를 설치했고 함장으로 서해안을 수시로 오가던 때 회수 과정에 참여했던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이 인사는 인터뷰에서 “1974년부터 북한이 서해에 위기를 만들었다. ‘서해 크라이시스(crisis)'라고 불렀고 연평해전 상황과 비슷한 긴장감이 돌았다"며 "1976년 박정희 대통령이 ’백령도를 요새화하라‘고 지시했다. 해안에는 발목지뢰를, 수중에는 기뢰를 심었다. 해병대 6여단이 증강 배치된 것도 이 때"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군이 2차 대전 때 쓰던 폭뢰(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해 배에서 수면 아래로 떨어뜨리는 폭탄)를 개조한 기뢰를 136개 심었다. ‘바께쓰’ 2개를 이어붙인 모양의 원통형으로 무게가 200kg 정도 됐다"고 전했다. 이 역시 앞서 조갑제 전 대표 주장과 일치하는 대목이다.
그는 "1986년 안전사고를 우려해 해군과 해병대가 회수했다. 지뢰는 70∼80% 회수했다"며 "하지만 기뢰는 10%도 회수 못했다. 그때 회수하다 보니 6·25 때 설치된 북한 기뢰도 몇 개 나왔다. 유실된 기뢰를 찾는 작업은 최근까지도 진행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그는 “물속에서 30년 이상 된, 제작연도 기준으로는 그 2배 이상인 유실된 기뢰가 천안함을 만나 사고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기뢰가 화약 기능 손상이 없다 하더라도 천안함과 충돌하거나 전기적 작용에 의해 폭발할 가능성은 여러 우연이 겹쳐야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북한의 어뢰 공격 가능성보다는 높다”며 북한의 어뢰 공격 가능성을 대단히 낮게 봤다.
한편 <한겨레21>은 미국이 처음부터 북한 연루 가능성을 낮게 본 데 이어 최근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국 대사와 월터 샤프 한미연합사령관이 천안함 인양 작업을 지휘하는 독도함을 방문한 점 등을 거론하며, 한 안보전문가는 “미국 정부가 현재 공표된 것 이상의 정보를 가지고 있고, 한국 정부가 천안함 문제를 자신들이 가진 정보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져갈 가능성을 경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