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50% "강도론 갈등, 靑에 더 큰 책임"
TK, 원안 추진 여론이 수정 여론 앞질러
17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설 연휴가 끝난 직후인 16일 세종시 추진방향에 대한 국민 여론 추이를 조사한 결과, 수정추진 의견이 36.8%로, 원안추진 의견(32.1%)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절충안은 20.8%로 조사됐다.
이는 설 연휴 이전(9일) 조사와 비교할 때 수정안 상승폭은 1.9%p에 그쳤고 원안은 2.1%p 감소해, 설 연휴 효과가 정부의 기대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더욱이 이번 설 연휴 귀향했다고 응답한 유권자(51.7%)들의 경우, 원안이 39.1%로 수정추진(35%)보다 더 높게 나타난 점을 감안하면, 충청외 지역 역차별 논란에 따른 수정안 반감이 정부의 수정안에 큰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역차별 논란 외에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간의 ‘강도론’ 갈등 촉발도 양측 의견을 더 벌리는 데 장애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강도론' 갈등의 책임이 "청와대에 더 큰 책임이 있다"는 의견이 2명중 1명꼴(50.4%)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의견은 설연휴 이전(47.4%)보다 늘어난 점, 그리고 귀향했다는 응답자층(55.6%)이 귀향하지 않았다는 응답자층(44.8%)보다 청와대 책임론이 더 많이 나타난 점에서, ‘강도론’ 갈등이 세종시 수정안에 불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리얼미터>는 분석했다.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 지지층의 수정 추진 의견이 65.1%로 나타나 원안추진(8.9%) 의견을 크게 웃돌았으며, 민주당 지지층의 경우에는 여전히 원안추진이 58.3%로 여전히 수정추진(6.7%)보다 월등히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수정 46%〉 원안 25.1%)을 비롯해 인천/경기(44.1%〉32.1%), 부산/경남/울산(39.8%〉32.7%)에서는 수정 추진이 우세한 반면, 전북(14%〈51.7%), 대전/충청(18.7%〈42.2%), 전남/광주(17.4%〈38.1%)에서는 원안 추진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난 조사에서 수정 추진이 훨씬 많았던 대구/경북의 경우, 원안 추진이 33.1%로 설연휴 이후 수정추진(23.4%)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설 연휴 이후 민심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면서 박 전 대표 영향력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은 여전히 원안추진(42.1%)이 수정추진(31.3%)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수정추진이 42.1%로 원안추진(22.4%) 의견보다 두배 가까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40.2%〉20.3%)와 50대 이상(42.8%〉26.7%)은 수정추진이, 30대(32.6%〈40.1%)와 40대(29%〈42.4%)는 원안 추진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돼, 남성, 3~40대가 정부의 수정안에 가장 큰 반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