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계, '영남 4권역 수장' 모두 공천탈락
이명박계 수장들은 절반 이상 '생환'
한나라당 박근혜계가 13일 저녁 발표된 영남권 공천 결과에 분노하는 이유는 박근혜계 핵심 의원들이 모조리 탈락했기 때문이다.
특히 대구-경북, 부산-경남으로 이어지는 영남 벨트의 '4권역 수장'들이 모두 잘려나간 것이 결정적이었다.
지난 해 한나라당 경선 과정에서 박근혜계 대구 수장은 3선의 이해봉(대구 달서을) 의원이었다. 이 의원은 '박근혜 선대위' 대구 선대위원장을 맡아, 대구를 총괄했다. 이 의원은 자신과 함께 대구 지역을 총괄했던 3선의 박종근(대구 달서갑) 의원과 함께 공천에서 탈락했다.
박근혜 선대위 '경북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재선의 이인기(경북 고령.성주.칠곡) 의원도 이번 공천에서 탈락했다. 이 의원과 함께 경북 선대위 본부장을 지낸 초선의 김태환(경북 구미을) 의원도 탈락했다.
박근혜 선대위 '부산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재선의 엄호성(사하갑) 의원도 공천에서 탈락했다. 부산 선대위 본부장을 맡은 유기준 의원도 탈락했다.
박근혜 선대위 '경남 선대위원장'을 맡은 3선의 김기춘(경남 거제) 의원도 공천 탈락했다.
이처럼 지난 해 경선에서 영남권 각 지역 수장을 맡았던 박근혜계 인사들이 예외없이 몰살되다시피 했다.
이밖에도 계파 수장인 3선의 김무성(부산 남구을), 캠프 대변인 초선의 김재원(경북 군위.의성.청송), 박근혜계에서 최다선인 4선의 이강두(경남 산청.함양.거창) 의원 등, 공천에서 탈락한 박근혜계 영남권 의원 10명 모두가 핵심 요직에 분포돼 있던 인사들이었다.
반면 이명박계는 자파 영남권 수장 중 절반을 보호했다.
경선 당시 이명박 선대위 '부산 선대위원장'이었던 재선의 안경률(부산 해운대.기장을), 부산 선대본부장을 맡았던 초선 박승환(부산 금정) 의원은 생환했다.
이명박 선대위 '경남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재선의 이방호(경남 사천) 의원도 살아남았다.
반면 이명박 선대위 '대구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3선의 안택수(대구 북을) 의원은 탈락했다. 하지만 대구 선대본부장을 맡았던 초선의 이명규(대구 북구갑) 의원은 살아남았다.
또 이명박 선대위 '경북 선대위원장'을 맡은 3선의 권오을(경북 안동) 의원은 탈락했지만, 이명박계 경북 핵심 재선의 이병석(경북 포항북구), 초선의 정종복(경북 경주) 의원은 공천을 받았다.
이명박계 좌장 5선의 박희태(경남 남해.하동) 의원은 공천에서 탈락했지만, 좌장 중의 좌장 5선의 이상득(경북 포항남구.울릉) 의원의 공천은 확정됐다.
이처럼 양 계파의 영남 핵심 인사들만을 놓고 비교해볼 때 박근혜계가 "보복 공천", "대학살"이라는 용어를 써가며 분노하는 이유는,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의 무게감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데 있다.
특히 대구-경북, 부산-경남으로 이어지는 영남 벨트의 '4권역 수장'들이 모두 잘려나간 것이 결정적이었다.
지난 해 한나라당 경선 과정에서 박근혜계 대구 수장은 3선의 이해봉(대구 달서을) 의원이었다. 이 의원은 '박근혜 선대위' 대구 선대위원장을 맡아, 대구를 총괄했다. 이 의원은 자신과 함께 대구 지역을 총괄했던 3선의 박종근(대구 달서갑) 의원과 함께 공천에서 탈락했다.
박근혜 선대위 '경북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재선의 이인기(경북 고령.성주.칠곡) 의원도 이번 공천에서 탈락했다. 이 의원과 함께 경북 선대위 본부장을 지낸 초선의 김태환(경북 구미을) 의원도 탈락했다.
박근혜 선대위 '부산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재선의 엄호성(사하갑) 의원도 공천에서 탈락했다. 부산 선대위 본부장을 맡은 유기준 의원도 탈락했다.
박근혜 선대위 '경남 선대위원장'을 맡은 3선의 김기춘(경남 거제) 의원도 공천 탈락했다.
이처럼 지난 해 경선에서 영남권 각 지역 수장을 맡았던 박근혜계 인사들이 예외없이 몰살되다시피 했다.
이밖에도 계파 수장인 3선의 김무성(부산 남구을), 캠프 대변인 초선의 김재원(경북 군위.의성.청송), 박근혜계에서 최다선인 4선의 이강두(경남 산청.함양.거창) 의원 등, 공천에서 탈락한 박근혜계 영남권 의원 10명 모두가 핵심 요직에 분포돼 있던 인사들이었다.
반면 이명박계는 자파 영남권 수장 중 절반을 보호했다.
경선 당시 이명박 선대위 '부산 선대위원장'이었던 재선의 안경률(부산 해운대.기장을), 부산 선대본부장을 맡았던 초선 박승환(부산 금정) 의원은 생환했다.
이명박 선대위 '경남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재선의 이방호(경남 사천) 의원도 살아남았다.
반면 이명박 선대위 '대구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3선의 안택수(대구 북을) 의원은 탈락했다. 하지만 대구 선대본부장을 맡았던 초선의 이명규(대구 북구갑) 의원은 살아남았다.
또 이명박 선대위 '경북 선대위원장'을 맡은 3선의 권오을(경북 안동) 의원은 탈락했지만, 이명박계 경북 핵심 재선의 이병석(경북 포항북구), 초선의 정종복(경북 경주) 의원은 공천을 받았다.
이명박계 좌장 5선의 박희태(경남 남해.하동) 의원은 공천에서 탈락했지만, 좌장 중의 좌장 5선의 이상득(경북 포항남구.울릉) 의원의 공천은 확정됐다.
이처럼 양 계파의 영남 핵심 인사들만을 놓고 비교해볼 때 박근혜계가 "보복 공천", "대학살"이라는 용어를 써가며 분노하는 이유는,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의 무게감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는데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