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심위원장, 박관용-안강민 유력
24일 공심위 출범, 인명진-심재륜-권영세-홍준표 물망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장에 박관용 전 국회의장과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공천심사위 출범 할 듯, 공심위원 구성 놓고 진통
한나라당 총선기획단(단장 이방호 사무총장)은 17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2차 회의'를 갖고 21일 최고위원회에 보고할 공심위원장 등 11명(외부6명, 내부5명)의 공심위원 구성과 관련해 격론을 펼쳤으나, 이명박계와 박근혜계 등 양 계파의 의견 불일치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기획단의 정종복 제1사무부총장은 이 날 국회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오는 24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의 의결을 목표로 공심위 구성을 준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 부총장은 특히 공심위 구성과 관련해 "이견은 없다. 계파니 하는 이야기도 없고 다들 기본 합의가 돼 24일까지 제출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 부총장의 주장에도 불구, 박근혜 전 대표측에서는 공심위원 배분 문제부터 제동을 걸고 나섰다.
총선기획단에서 박근혜계로 분류되는 모 인사는 이 날 본지와 통화에서 "우리는 처음부터 내부인사를 외부인사보다 더 많이 기용하자고 주장했지만 저쪽(이명박계)에서 우리 의견을 일축했다"며 외부인사 6명, 내부인사 5명으로 구성하기로 한 공심위 구성 비율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특히 "계파 갈등이 심하니 내부 인사의 경우, 계파색이 뚜렷한 인사는 공심위원에서 완전히 배제하고, 중립적 외부인사를 더 많이 넣자는 것이 저쪽 주장"이라며 "그러나 솔직히 지금 당내에서나 외부에서나 중립 인사가 어디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따라서 "내부 인사 5명 중 계파별 2명씩 넣고 중립인사 1명 가량으로 하자는 입장이 우리쪽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이명박계 인사는 그러나 "강재섭 대표가 이미 '계파색이 뚜렷한 인사는 절대 공심위원으로 해서는 안된다. 계파 안배같은 것은 하지 말라'고 지시한 마당에서 어떻게 계파별 위원 선정을 하겠냐"며 "내부 인사 5명은 철저히 중립 의원들로 구성하면 된다"고 반박했다.
박관용 전 국회의장, 안강민 전 지검장 '공심위원장' 발탁 유력
한편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는 공천심사위원장의 경우 이명박계에서는 박관용 전 국회의장, 인명진 윤리위원장 등을 거론하고 있다. 반면 박근혜계에서는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 권영세 의원 등을 선호하고 있다.
이밖에도 안강민 전 서울중앙지검장, 심재륜 전 대구고검장, 홍준표 의원 등이 공심위원장 후보군 물망에 오르고 있다.
공심위원장 물망에 오르고 있는 후보군 중 일단 이명박계에서는 권영세 의원과, 강창희 전 의원을 사실상 박근혜계로 분류하고 있는 반면, 박근혜계에서는 인명진 위원장을 이명박계로 분류하고 있고 심재륜 전 고검장도 공심위원장으로는 탐탁치 않다는 반응이다.
따라서 양 계파에서 굳이 크게 반대하지 않는 인사는 박관용 전 의장, 안강민 전 고검장, 홍준표 의원 등 3명으로 압축되고 있다.
박 전 의장은 지난 한나라당 경선 당시 경선관리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당 원로로서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추천 후보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박근혜계 일부에서는 "경선 당시 경선 룰 문제나 관리 면에서 이명박 후보측에 무게를 둔 것이 사실 아니냐"며 마뜩찮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와 가까운 것도 박근혜계에서는 공심위원장 불가 이유중의 하나다.
안강민 전 고검장의 경우 경선 후보 검증위원장을 역임하며 이미 한 차례 중책을 맡은 경험은 있지만, 박근혜계 일부에서는 "외부인사에게 당 공천을 맡기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이명박계의 입김에 휘둘릴 것을 의심하는 분위기다. 이명박계 일부 진영에서도 안 전 고검장에 대해 "박근혜 전 대표측과 가까운 인사가 아니냐"며 마뜩찮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인명진 위원장의 경우 당 쇄신 차원에서는 가장 적합한 인물로 호평나 있지만, '공천 물갈이' 분위기에 따라 박근혜계에서 가장 거부감이 심한 인사이기도 하다. 인 위원장은 "계파 갈등에 휘말리기 싫다"며 "또 나보고 공심위원장 하라고 부탁이 오지도 않을 것"이라고 자신의 공심위원장 발탁 가능성을 일축했다.
강창희 전 의원의 경우 박근혜계 인사로 명확히 분류돼 사실상 공심위원장 발탁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권영세 의원의 경우, 경선 기간 철저히 중립을 지켰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 출신이라는 점, 당내 소장파라는 등의 이유로 계파 이해관계만 배제한다면 공심위원장 후보로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명박계에서는 권 의원을 사실상 박근혜계로 인식하고 있고, 당내 인사가 공심위원장을 맡을 경우 대개 3선급 이상 중진 인사라는 관례가 권 의원의 발탁 가능성을 낮게 만들고 있다.
홍준표 의원의 경우 '수도권 3선'이라는 공심위원장의 조건에는 최적합한 인물이기는 하나, 이명박계에서 공심위원장을 현직 당 내부 인사보다는 외부인사나 전직 내부 인사를 선호해 공심위원장 발탁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박근혜계에서는 홍 의원의 공심위원장 발탁에 크게 거부감을 갖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공천심사위 출범 할 듯, 공심위원 구성 놓고 진통
한나라당 총선기획단(단장 이방호 사무총장)은 17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2차 회의'를 갖고 21일 최고위원회에 보고할 공심위원장 등 11명(외부6명, 내부5명)의 공심위원 구성과 관련해 격론을 펼쳤으나, 이명박계와 박근혜계 등 양 계파의 의견 불일치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기획단의 정종복 제1사무부총장은 이 날 국회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오는 24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의 의결을 목표로 공심위 구성을 준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 부총장은 특히 공심위 구성과 관련해 "이견은 없다. 계파니 하는 이야기도 없고 다들 기본 합의가 돼 24일까지 제출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 부총장의 주장에도 불구, 박근혜 전 대표측에서는 공심위원 배분 문제부터 제동을 걸고 나섰다.
총선기획단에서 박근혜계로 분류되는 모 인사는 이 날 본지와 통화에서 "우리는 처음부터 내부인사를 외부인사보다 더 많이 기용하자고 주장했지만 저쪽(이명박계)에서 우리 의견을 일축했다"며 외부인사 6명, 내부인사 5명으로 구성하기로 한 공심위 구성 비율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는 특히 "계파 갈등이 심하니 내부 인사의 경우, 계파색이 뚜렷한 인사는 공심위원에서 완전히 배제하고, 중립적 외부인사를 더 많이 넣자는 것이 저쪽 주장"이라며 "그러나 솔직히 지금 당내에서나 외부에서나 중립 인사가 어디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따라서 "내부 인사 5명 중 계파별 2명씩 넣고 중립인사 1명 가량으로 하자는 입장이 우리쪽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이명박계 인사는 그러나 "강재섭 대표가 이미 '계파색이 뚜렷한 인사는 절대 공심위원으로 해서는 안된다. 계파 안배같은 것은 하지 말라'고 지시한 마당에서 어떻게 계파별 위원 선정을 하겠냐"며 "내부 인사 5명은 철저히 중립 의원들로 구성하면 된다"고 반박했다.
박관용 전 국회의장, 안강민 전 지검장 '공심위원장' 발탁 유력
한편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는 공천심사위원장의 경우 이명박계에서는 박관용 전 국회의장, 인명진 윤리위원장 등을 거론하고 있다. 반면 박근혜계에서는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 권영세 의원 등을 선호하고 있다.
이밖에도 안강민 전 서울중앙지검장, 심재륜 전 대구고검장, 홍준표 의원 등이 공심위원장 후보군 물망에 오르고 있다.
공심위원장 물망에 오르고 있는 후보군 중 일단 이명박계에서는 권영세 의원과, 강창희 전 의원을 사실상 박근혜계로 분류하고 있는 반면, 박근혜계에서는 인명진 위원장을 이명박계로 분류하고 있고 심재륜 전 고검장도 공심위원장으로는 탐탁치 않다는 반응이다.
따라서 양 계파에서 굳이 크게 반대하지 않는 인사는 박관용 전 의장, 안강민 전 고검장, 홍준표 의원 등 3명으로 압축되고 있다.
박 전 의장은 지난 한나라당 경선 당시 경선관리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당 원로로서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추천 후보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박근혜계 일부에서는 "경선 당시 경선 룰 문제나 관리 면에서 이명박 후보측에 무게를 둔 것이 사실 아니냐"며 마뜩찮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와 가까운 것도 박근혜계에서는 공심위원장 불가 이유중의 하나다.
안강민 전 고검장의 경우 경선 후보 검증위원장을 역임하며 이미 한 차례 중책을 맡은 경험은 있지만, 박근혜계 일부에서는 "외부인사에게 당 공천을 맡기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이명박계의 입김에 휘둘릴 것을 의심하는 분위기다. 이명박계 일부 진영에서도 안 전 고검장에 대해 "박근혜 전 대표측과 가까운 인사가 아니냐"며 마뜩찮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인명진 위원장의 경우 당 쇄신 차원에서는 가장 적합한 인물로 호평나 있지만, '공천 물갈이' 분위기에 따라 박근혜계에서 가장 거부감이 심한 인사이기도 하다. 인 위원장은 "계파 갈등에 휘말리기 싫다"며 "또 나보고 공심위원장 하라고 부탁이 오지도 않을 것"이라고 자신의 공심위원장 발탁 가능성을 일축했다.
강창희 전 의원의 경우 박근혜계 인사로 명확히 분류돼 사실상 공심위원장 발탁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권영세 의원의 경우, 경선 기간 철저히 중립을 지켰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 출신이라는 점, 당내 소장파라는 등의 이유로 계파 이해관계만 배제한다면 공심위원장 후보로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명박계에서는 권 의원을 사실상 박근혜계로 인식하고 있고, 당내 인사가 공심위원장을 맡을 경우 대개 3선급 이상 중진 인사라는 관례가 권 의원의 발탁 가능성을 낮게 만들고 있다.
홍준표 의원의 경우 '수도권 3선'이라는 공심위원장의 조건에는 최적합한 인물이기는 하나, 이명박계에서 공심위원장을 현직 당 내부 인사보다는 외부인사나 전직 내부 인사를 선호해 공심위원장 발탁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박근혜계에서는 홍 의원의 공심위원장 발탁에 크게 거부감을 갖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