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 지도부 총사퇴, '심상정 체제' 발족 유력
29일 중앙위에서 비대위 체제 발족 전망
민주노동당 문성현 지도부가 대선참패 책임을 지고 26일 총사퇴를 결정했다.
최고위원회는 이날 오전 회의를 열고 "대선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책임을 지고자 한다.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비대위를 구성해 당 혁신과 쇄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자"고 밝혔다.
최고위는 이날 사퇴결정을 했으나 당규상 공식적인 사퇴는 중앙위원회가 열려 비상대책위가 꾸려질 29일 하기로 했다. 따라서 문대표는 29일 중앙위 개회를 선언한 후 임시의장을 뽑고나서 의장자리에서 내려오게 된다.
비상대책위 구성을 위한 논의는 26일 오후 2시부터 열리는 확대간부위원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현재 당 안팎에서는 비대위원장을 경선때 근소한 표차로 2위를 차지한 심상정 의원이 맡아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어서, 심상정 체제가 당 혁신을 주도할 전망이다.
최고위원회는 이날 오전 회의를 열고 "대선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책임을 지고자 한다.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비대위를 구성해 당 혁신과 쇄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자"고 밝혔다.
최고위는 이날 사퇴결정을 했으나 당규상 공식적인 사퇴는 중앙위원회가 열려 비상대책위가 꾸려질 29일 하기로 했다. 따라서 문대표는 29일 중앙위 개회를 선언한 후 임시의장을 뽑고나서 의장자리에서 내려오게 된다.
비상대책위 구성을 위한 논의는 26일 오후 2시부터 열리는 확대간부위원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현재 당 안팎에서는 비대위원장을 경선때 근소한 표차로 2위를 차지한 심상정 의원이 맡아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어서, 심상정 체제가 당 혁신을 주도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