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일 수출, '트럼프 관세'에 일평균 10.6% 급감
'조업일수 3.5일' 착시로 전체 수출은 늘어
9월 중순까지 수출이 작년보다 큰 폭으로 늘었으나, 이는 조업일수 증가에 따른 착시현상으로 조업일수 효과를 제외한 일평균 수출은 큰 폭으로 감소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401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5% 증가했다.
하지만 이 기간 조업일수는 16.5일로 추석 연휴가 낀 작년(13.0일)보다 3.5일이나 많았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3천만 달러로 작년(27억2천만 달러)보다 10.6% 급감했다. 트럼프 관세 폭탄이 본격적으로 수출을 강타하는 양상이다.
1∼20일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7.0%), 승용차(14.9%), 선박(46.1%), 무선통신기기(3.3%) 등에서 증가했지만 석유제품(-4.5)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1.6%), 미국(6.1%), 베트남(22.0%), 유럽연합(EU·10.7%), 대만(22.9%) 등 대부분 국가에서 증가했다.
수입은 382억 달러로 작년보다 9.9% 늘어 무역수지는 1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2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은 401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5% 증가했다.
하지만 이 기간 조업일수는 16.5일로 추석 연휴가 낀 작년(13.0일)보다 3.5일이나 많았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3천만 달러로 작년(27억2천만 달러)보다 10.6% 급감했다. 트럼프 관세 폭탄이 본격적으로 수출을 강타하는 양상이다.
1∼20일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27.0%), 승용차(14.9%), 선박(46.1%), 무선통신기기(3.3%) 등에서 증가했지만 석유제품(-4.5)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1.6%), 미국(6.1%), 베트남(22.0%), 유럽연합(EU·10.7%), 대만(22.9%) 등 대부분 국가에서 증가했다.
수입은 382억 달러로 작년보다 9.9% 늘어 무역수지는 1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