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위성락 “트럼프-김정은 회동? 기대 높지 않아"

“민감국가 지정 해제 문제 제기했지만 성과 기대 어려워”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간 회동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대화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게 잡지 않는 것이 오히려 건설적일 것”이라며 성사 가능성을 낮게 봤다.

위 실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지금은 북한이 우리하고의 대화는 물론 미국과의 대화까지도 하려는 의지를 내비치지 않는 상황이다. 싸늘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은 지금 굉장히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기 때문에 너무 우리가 기대치를 높여서 얘기하는 것이 북의 호응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안 될 수도 있어서 저희는 기대치를 높게 너무 높게 잡기보다는 그냥 있는 그대로 담담하게 두고 북의 호응을 기대하는 것이 기다리는 것이 낫다”고 덧붙였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참석과 관련해선 “이례적인 일”이라며 “그런 자리에 잘 가지 않아 왔다. 두고 봐야 될 텐데 꽤 주목을 요하는 상황 진전”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문이 채택되지 않은 데 대해선 “안보 분야도 있고 경제, 통상, 투자 다 망라하는 건데 어느 분야에서는 진전이 많이 있어서 서로 문서를 내놓을 정도까지 간 점도 있다”면서도 “어느 분야에서는 느린 점이 있었다. 큰 이견이 있는 게 아니라 상세히 규정하려면 더 많은 검토를 해야 된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투자·관세·안보 분야 다 해서 큰 공감대가 형성이 됐기에 그 자체로 성과고 저기서 좀 더 협의를 하면 나중에 가시물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협의에 중점을 둔 이슈 중 하나는 원자력 분야 협력"이라며 "제3국 공동 진출이나 농축·재처리 분야에서 운신 폭 확대 논의가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민감국가'에서 해제될 가능성에 대해선 “제기하고는 있지만 단기간 내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박고은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