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日관세 30~35% 될 수도" vs 日 "방위비, 우리가 결정"
미일, 日시장 개방-방위비 증액 높고 충돌. 한미갈등 '예고편'?
이같은 미일 충돌은 미국으로부터 동일한 압박을 받고 있는 우리나라도 향후 직면할 상황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백악관 공동 취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방문후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기내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할지에 대해 "아니다. 나는 그것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나는 많은 나라들에 (국가별 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일본을 지목해 "우리는 일본을 상대해 왔는데, 나는 합의를 할지 확신을 못하겠다. 일본과는 합의를 할지 의문시된다"고 밝힌 뒤 "그들은 매우 터프하다. 그들은 매우 잘못 길들여졌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그들은 우리에게서 30∼40년간 뜯어내면서 잘못 길들여진 나머지 합의를 하기가 정말로 어려워졌다"며 "예를 들자면 그들은 쌀을 절실히 필요로 하면서도 (미국) 쌀을 받아들이지(수입하지) 않을 것이고, 다른 제품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수백만대의 차를 보내면서(미국에 팔면서) 우리는 과거 10년 동안 차 한대도 그들에게 보내지(수출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에 보낼 서한 내용에 대해 "우리는 당신들(일본)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종류의 일들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당신은 30%나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어떤 수치를 지불하게 될 것"이라며 "왜냐하면 우리는 일본에 대해 매우 큰 무역 적자를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앞서 일본에 대해 24% 상호관세율을 발표했었다.
이에 대해 일본정부는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5% 증액 요구 등을 수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은 이날 워싱턴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방위비 대폭 증액 요구에 대해 "일본 자신의 판단으로 방위력의 근본적 강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미국의 방위비 증액 압박에 반발해 일본이 취소한 외무·방위 담당 각료에 의한 안전보장협의위원회(2+2) 회담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