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尹 지지율 10%대 떨어질 수도. 통절한 자성해야"
"尹 체념 기류도 감지" "개혁도 안하면서 무슨 반개혁 저항 탓?"
이대로 가다간 정권 재창출은커녕 재임기간을 채울 수 있을지조차 의문시된다는 보수진영의 극한 위기감 분출로 보인다.
<조선일보>는 사설 <尹 지지율 20%, 심각하게 받아들여야>를 통해 윤 대통령 지지율 급락과 관련, "그 이유는 누구나 안다. 한국갤럽 조사에선 의대 정원 확대가 부정 평가의 첫 번째 이유로 꼽혔다. 한때 긍정 평가의 이유였지만 의료 갈등이 7개월을 넘기면서 윤 정부 관리 능력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김건희 여사가 ‘명품 백 사건’ 등 부적절한 처신에 대한 사과도 없이 공개 활동을 재개한 것도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응답자들은 경제·민생, 소통 미흡, 독단적 리더십을 부정 평가의 이유로 지목했다. 변하지 않은 윤 대통령 모습에 고물가와 의료 사태까지 겹치면서 민심 이반이 심화되는 양상"이라며 "이대로 가면 지지율은 더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만약 지지율이 10%대까지 떨어지면 국정 동력엔 급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다. 일선 공무원은 움직이지 않으려 할 것이고, 거대 야당이 국회를 지배하는 상황에서 대통령의 운신은 더 힘들어질 것"이라며 "왜 민심이 떠나고 있는지 통절한 자성이 없다면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강력 경고했다.
<중앙일보>도 사설 <국정 쇄신 더는 외면할 수 없는 ‘대통령 지지율 20%’>를 통해 "오만·불통·독선적 이미지에 대한 반감이 의·정 갈등에 집약돼 표출되면서 민심은 더 싸늘해졌다"며 "이런 판국에 연휴 직전 핵심 참모가 ‘대통령은 지지율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상남자 스타일’이라고 칭송했다는 보도와, 명품백 사건 등에 사과 등 아무런 입장 표명도 없던 김건희 여사의 공개 행보 재개가 악화한 민심에 불을 질렀다"고 개탄했다.
이어 "대통령의 ‘지지율 20%’는 국민의 실망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이자, 국정 운영 동력의 실질적 마지노선"이라며 "일각에선 대통령에 대한 무관심을 넘어 체념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굳건한 지지층인 70대 이상(긍정 37%-부정 48%), 보수층(38-53), 대구·경북(35-57) 민심도 등을 돌렸다"며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사설은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임기 후반 ‘최순실 스캔들’로 17%(2016년 10월)를 찍으며 내리막길로 치달았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임기 마지막 해에 20%가 붕괴(17%, 2012년 8월)하면서 레임덕을 피해 가지 못했다"면서 "김 여사 문제 해법을 포함해 국정 운영의 일대 쇄신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절체절명의 과제다. 무엇보다 대통령의 진정한 성찰이 우선"이라고 직격했다.
<동아일보>는 <개혁다운 개혁도 안 하면서 '곳곳에서 반개혁 저항' 탓하나>를 통해 "윤 대통령은 취임 직후 연금, 교육, 노동 3대 개혁을 핵심 국정 과제로 제시했지만 임기 절반이 되도록 어느 것 하나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연금개혁은 정부가 지난 국회 때 여야 합의안을 무산시킨 후 최근에야 기금 고갈 시기를 16년 늦추는, 효과가 미미한 개혁안을 내놓았다. 노동개혁은 노동시간 유연화 정책이 ‘주 69시간’ 역풍을 맞은 뒤로 사실상 멈춰 선 상태이고, 교육개혁은 ‘사교육 카르텔 혁파’를 한다면서 공교육 구조개혁엔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며 "개혁다운 개혁이 진행되지 않는데 무슨 저항이 있다는 건가"라고 비꼬았다
이어 "4대 개혁 중 유일하게 속도를 내는 분야가 의료다. ‘반개혁 카르텔’도 의사들을 겨냥한 발언으로 보인다"며 "재정적 정치적 부담이 큰 과제들은 제쳐두고 갑자기 의대 증원을 밀어붙였다. 구체적인 선결 과제 이행 계획을 내놓고 절차를 밟아 증원했더라면 의사들 저항이 이렇게 크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의대 증원 찬성 여론이 급감하고 대통령 지지율이 최저치를 기록한 데는 ‘반개혁 저항’보다는 정책 혼선에 대한 불신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의욕만 앞서 합리적 이견에 귀 닫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며 윤 대통령에 맹성을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