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2분기 성장률 1.1%. 재정투입 산물, 민간은 마이너스

국내총소득은 감소, 하반기 상황은 시계 제로(0)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1%로 반등했다.

한국은행은 25일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1%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7년 3분기(1.5%) 이후 7개 분기만에 최고치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1%다.

이같은 반등은 전분기에 10년 3개월만에 최저치인 -0.4% 성장에 그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정부의 경기부양 자금이 2분기에 지방정부를 통해 집중적으로 풀렸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주체별 성장 기여도를 보면 정부가 1분기 -0.6%포인트에서 2분기 1.3%포인트로 전환된 반면, 민간은 0.1%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도리어 악화됐다.

요컨대 정부재정 투입으로 숫자상의 플러스 성장을 이끌었지, 민간부문은 더 악화됐다는 얘기다.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0.7%, 정부소비는 2.5%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1.4%, 설비투자는 2.4% 늘었다. 또 수출은 2.3%, 수입은 3.0% 증가했다.

전년 동기로는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3.5%와 -7.8%, 수출과 수입은 1.5%와 0.1%다. 수출입 중 재화수출과 재화수입은 -0.6%와 -0.4%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0.6% 줄어들었다. 이는 1년만에 최저치다.

GDI는 전년 동기대비로는 0.5% 감소해 지난 2009년 1분기(-2.5%) 이후 10년 3개월만에 최저치로 추락했다.

한은이 최근 하향조정한 올해 성장률 2.2%를 달성하기 위해선 남은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전기 대비 0.8∼0.9%씩 성장해야 한다. 그러나 일본의 경제보복이 본격화할 경우 시계(視界)는 예측 제로(0)다.

더욱이 상반기 재정집행율이 당초 계획인 61.0%보다 높은 65.4%에 달해, 하반기에 재정효과가 급감하면서 성장률에 적신호가 켜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6 개 있습니다.

  • 0 0
    111

    한국에서 추경이라는것으

    정부 1년예산을 모두 소진후에
    돈이 없으니 새로 돈이필요해서 하는것이지

    추경하지않앗는데 공무원들에 돈은 잘도 지급하네
    예산발표도 잇네

  • 0 2
    위기의 대한민국

    1905년 을사조약 이래 최악의 위기다.
    온 백성이 단합해야 나라 지킨다.
    정부에 절대적인 힘을 실어주자.

  • 2 0
    주사파

    요덕 천국이 기다린다 가자

  • 16 0
    ㅎㅎㅎㅎ

    국민들로부터 세금 추경해서 풀면
    대기업들은 투자는 안하고 유보금으로 챙기기에 바쁨.

    재벌개혁 안하는 정부는 양아치 정부여...........그 어떤 정부건 간에..............

  • 3 3
    ㅋㅋㅋ

    아래 한심한 무지렁이 문베달창놈아!
    방구석에서 빨지나 말고 나가서 노가다라도 뛰라!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 3 4
    대한민국 짝짝짝!

    문재인 정부 화이팅!
    계속 증가 하기를 바랍니다!
    화이팅!

    건방진 쪽바리들 고객을 개무시 한것임!
    일본 모든 상품 불매운동하면 대한민국은 더욱 발전합니다!
    일본은 대한민국 때문에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개놈들이 미친척을 합니다!
    이제 확실히 응징을 해야 합니다!
    일본이 꿈쩍 안한다는 기사가 있는데 하던말던 무조건 불매하면 됩니다!
    화이팅!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