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성장률 1.1%. 재정투입 산물, 민간은 마이너스
국내총소득은 감소, 하반기 상황은 시계 제로(0)
한국은행은 25일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1%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7년 3분기(1.5%) 이후 7개 분기만에 최고치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1%다.
이같은 반등은 전분기에 10년 3개월만에 최저치인 -0.4% 성장에 그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정부의 경기부양 자금이 2분기에 지방정부를 통해 집중적으로 풀렸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주체별 성장 기여도를 보면 정부가 1분기 -0.6%포인트에서 2분기 1.3%포인트로 전환된 반면, 민간은 0.1%포인트에서 -0.2%포인트로 도리어 악화됐다.
요컨대 정부재정 투입으로 숫자상의 플러스 성장을 이끌었지, 민간부문은 더 악화됐다는 얘기다.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0.7%, 정부소비는 2.5%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1.4%, 설비투자는 2.4% 늘었다. 또 수출은 2.3%, 수입은 3.0% 증가했다.
전년 동기로는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3.5%와 -7.8%, 수출과 수입은 1.5%와 0.1%다. 수출입 중 재화수출과 재화수입은 -0.6%와 -0.4%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0.6% 줄어들었다. 이는 1년만에 최저치다.
GDI는 전년 동기대비로는 0.5% 감소해 지난 2009년 1분기(-2.5%) 이후 10년 3개월만에 최저치로 추락했다.
한은이 최근 하향조정한 올해 성장률 2.2%를 달성하기 위해선 남은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전기 대비 0.8∼0.9%씩 성장해야 한다. 그러나 일본의 경제보복이 본격화할 경우 시계(視界)는 예측 제로(0)다.
더욱이 상반기 재정집행율이 당초 계획인 61.0%보다 높은 65.4%에 달해, 하반기에 재정효과가 급감하면서 성장률에 적신호가 켜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