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포털사이트, 언론을 떡 주무르듯”
"대선에서 특정 주자 여론조작 가능성 커"
<서울신문>이 28일 "네이버, 네이트, 다음 등 3대 포털을 자체 분석한 결과 기사 제목 재편집은 47%, 글자 수정은 25%대로 언론의 진정성을 맘대로 훼손하고 있다”고 보도한 데 대해 한나라당이 즉각 포털들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대은 한나라당 부대변인은 이 날 논평을 통해 <서울신문> 기사를 인용한 뒤, “인터넷 포털들이 스스로 뉴스는 생산하지 않고 남의 뉴스를 빌려와 언론을 떡 주무르듯이 하면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기사 한자 안 쓰는 것도 모자라 언론사가 공급하는 기사와 제목을 입맛대로 재편집하는 등 횡포를 부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뉴스 선정도 검색어 순위가 아니라 포털 사이트 임의대로 선정하는 등 인기검색어에 대한 조작을 통해 자신들의 의도대로 인터넷 독자들의 사고를 획일화시키고 있다”며 “포털들의 횡포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지할 수 없는 법은 아무것도 없는 실정으로 현재 신문법과 언론중재법은 언론사가 운영하는 뉴스 서비스 사이트는 언론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포털은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며 현횅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향후 대선을 앞두고 포털의 신문기사 제목 재편집과 검색어 순위조작을 통해 특정주자를 위한 여론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언론에 적용되는 공평성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 법안을 제정하는 등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대은 한나라당 부대변인은 이 날 논평을 통해 <서울신문> 기사를 인용한 뒤, “인터넷 포털들이 스스로 뉴스는 생산하지 않고 남의 뉴스를 빌려와 언론을 떡 주무르듯이 하면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기사 한자 안 쓰는 것도 모자라 언론사가 공급하는 기사와 제목을 입맛대로 재편집하는 등 횡포를 부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뉴스 선정도 검색어 순위가 아니라 포털 사이트 임의대로 선정하는 등 인기검색어에 대한 조작을 통해 자신들의 의도대로 인터넷 독자들의 사고를 획일화시키고 있다”며 “포털들의 횡포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지할 수 없는 법은 아무것도 없는 실정으로 현재 신문법과 언론중재법은 언론사가 운영하는 뉴스 서비스 사이트는 언론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포털은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며 현횅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향후 대선을 앞두고 포털의 신문기사 제목 재편집과 검색어 순위조작을 통해 특정주자를 위한 여론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언론에 적용되는 공평성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 법안을 제정하는 등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