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구입 희망층, '거품 발생 전'으로 컴백
아파트 구입 희망층은 급락, 땅-상가 선호
향후 부동산을 구입할 계획이 있는 소비자의 비중이 6년여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단군이래 사상 최악으로 일컬어지는 부동산거품 발생 전의 상태로 돌아갔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아파트값 추가하락을 예고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전국 30개 도시 2천443가구를 대상으로 지난 2~15일 조사한 '1분기 소비자동향조사(CSI)' 결과, 향후 6개월 이내 부동산을 구입할 계획이 있는 소비자의 비중은 5%로 전분기의 7%에 비해 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00년 4분기(3%) 이후 6년3개월만에 최저치다.
특히 구입 예정 부동산으로는 아파트 구입을 계획하고 있는 비중은 51%로 전분기의 66%에 비해 15%포인트나 급락, 아파트값 추가 하락을 예상하는 구매자들이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토지 구입을 예정하고 있는 비중은 전분기 8%에서 19%로 크게 높아졌고, 상가 구입을 예정하고 있는 비중도 6%에서 9%로 올라가, 구매자들이 아파트 대신 토지나 상가를 검토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전국 30개 도시 2천443가구를 대상으로 지난 2~15일 조사한 '1분기 소비자동향조사(CSI)' 결과, 향후 6개월 이내 부동산을 구입할 계획이 있는 소비자의 비중은 5%로 전분기의 7%에 비해 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00년 4분기(3%) 이후 6년3개월만에 최저치다.
특히 구입 예정 부동산으로는 아파트 구입을 계획하고 있는 비중은 51%로 전분기의 66%에 비해 15%포인트나 급락, 아파트값 추가 하락을 예상하는 구매자들이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토지 구입을 예정하고 있는 비중은 전분기 8%에서 19%로 크게 높아졌고, 상가 구입을 예정하고 있는 비중도 6%에서 9%로 올라가, 구매자들이 아파트 대신 토지나 상가를 검토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