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정부도 "일본, 위안부 공식사과하고 배상하라"
대만 위안부단체 "앞으로 한국 등과 연대해 국제시위"
대만 정부가 22일 종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정부에 공식 사과 및 국가 배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일본 해명에 대해 대만정부, 사죄와 국가배상 거듭 강조
23일 독일 <DPA통신> 및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대만 외교부의 양쯔바오(楊子葆) 정무차장(차관)은 전날 일본의 대만창구인 교류협회 타이베이 사무소의 이토 고이치(伊藤康一) 총무무장을 불러 "일본 정부가 역사적인 사실을 직시하고 종군위안부 출신자에 대해 정식 사죄와 국가배상을 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양쯔바오 정무차장은 “종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피해자들이 지속적인 심리적이고 신체적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며 “일본은 진지하고 공식적인 사과에 나서는 한편 국가에 의한 배상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토 총무부장은 앞서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총리의 국회 답변을 거론한 뒤 "종군위안부 문제에 관해선 지난 93년 '고노 담화'에서 표명한 사과와 반성 입장을 계승하고 있다"며 “특히 해외 언론들이 아베 총리의 국회답변을 잘못 전달함으로써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양 정무차장은 “일본은 역사적인 사실들에 대해 진지하게 대한 뒤에 위안부로 끌러가 고통을 받은 이들에게 국가적인 배상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그는 또 "종군위안부 문제의 경우 과거 일본의 침략전쟁이 남긴 미해결 문제"라며 "피해를 당한 당사자들의 상처가 아직도 치유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인도와 인권적인 견지에서 응당히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타이페이 여성 구호재단의 가오 샤오판 집행국장은 이날 <차이나포스트>와의 회견에서 "15년 전 일본군에 의해 종군위안부로 끌려간 여성피해자를 위해 활동을 시작할 당시 피해자는 58명이었으나, 상당수가 사망해 지금은 27명만이 생존해있다"며 "대만에서 각종 시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이같은 시위는 향후 미국과 한국 등 전 세계 차원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일본에 대해 강력 경고했다.
일본 해명에 대해 대만정부, 사죄와 국가배상 거듭 강조
23일 독일 <DPA통신> 및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대만 외교부의 양쯔바오(楊子葆) 정무차장(차관)은 전날 일본의 대만창구인 교류협회 타이베이 사무소의 이토 고이치(伊藤康一) 총무무장을 불러 "일본 정부가 역사적인 사실을 직시하고 종군위안부 출신자에 대해 정식 사죄와 국가배상을 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양쯔바오 정무차장은 “종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피해자들이 지속적인 심리적이고 신체적인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며 “일본은 진지하고 공식적인 사과에 나서는 한편 국가에 의한 배상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토 총무부장은 앞서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총리의 국회 답변을 거론한 뒤 "종군위안부 문제에 관해선 지난 93년 '고노 담화'에서 표명한 사과와 반성 입장을 계승하고 있다"며 “특히 해외 언론들이 아베 총리의 국회답변을 잘못 전달함으로써 오해를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양 정무차장은 “일본은 역사적인 사실들에 대해 진지하게 대한 뒤에 위안부로 끌러가 고통을 받은 이들에게 국가적인 배상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그는 또 "종군위안부 문제의 경우 과거 일본의 침략전쟁이 남긴 미해결 문제"라며 "피해를 당한 당사자들의 상처가 아직도 치유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인도와 인권적인 견지에서 응당히 책임을 지고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타이페이 여성 구호재단의 가오 샤오판 집행국장은 이날 <차이나포스트>와의 회견에서 "15년 전 일본군에 의해 종군위안부로 끌려간 여성피해자를 위해 활동을 시작할 당시 피해자는 58명이었으나, 상당수가 사망해 지금은 27명만이 생존해있다"며 "대만에서 각종 시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이같은 시위는 향후 미국과 한국 등 전 세계 차원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일본에 대해 강력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