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윤철, 검찰로 론스타 넘긴 책임회피 질타에 '식은땀'
감사원 감사의 한계 시인하기도
전윤철 감사원장이 22일 외환은행의 론스타 헐값 매각의혹과 관련,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 볼 때 (론스타의 대주주자격) 직권취소 사유가 된다"면서도 향후 구체적 조치에 대해선 검찰로 공을 넘겼다.
전 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법사위 긴급현안보고에 출석, "론스타의 대주주 자격 유무 여부에 대해 감사원이 직접 판단하지 않고 왜 조치시한도 정해놓지 않은 채 금감위에 판단을 넘겼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렇게 답한 뒤 "그러나 입법기술적 형태를 보면 이런 경우 취소해야 한다는 규정과 취소와 무효를 행정부의 일반원칙에 미뤄놓는 형태가 있는데, (론스타에 적용되는) 은행법은 후자의 형태에 속해 취소해야 한다는 조항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다만 론스타가 로비에 개입했다든가, 특정 변호사 사무실에서 (로비)했다는 게 입증되면 (법 규정을) 고려할 필요없이 취소할 수 있는데, 감사원 감사는 물론 검찰 수사과정에서도 이런 사실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이 사건이 재판에 계류중인 상태여서 (금감위의 조치시한을) 명시하지 못했다"며 "법원에서 배임으로 결론난다면 금감위가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론스타 사건으로 이강원 당시 외환은행장과 변양호 재경부 금융정책국장 등 2명만 기소된 데 대해 "이 사건이 일개 은행장과 정부부처 국장의 의사결정으로 이뤄졌겠느냐에 대해 상당히 의문을 갖고 있었다"며 "성역없는 조사를 했지만 위에서 지시했거나 의사결정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다만 일련의 사법적 처리가 조금 미흡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감사원 감사의 문제점을 시인했다.
그는 당시 사건의 담당자였던 김석동 전 금감위 감독정책1국장이 재경부 차관으로 승진 임명된 것에 대해 "중간 감사발표 때 김 전 국장에게 여러 문제점이 있다고 발표했음에도 그같은 인사조치가 이뤄졌다"며 "그러나 이 문제를 놓고 인사권자(대통령)에게 얘기한 적은 없었다"고 답했다.
전 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법사위 긴급현안보고에 출석, "론스타의 대주주 자격 유무 여부에 대해 감사원이 직접 판단하지 않고 왜 조치시한도 정해놓지 않은 채 금감위에 판단을 넘겼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렇게 답한 뒤 "그러나 입법기술적 형태를 보면 이런 경우 취소해야 한다는 규정과 취소와 무효를 행정부의 일반원칙에 미뤄놓는 형태가 있는데, (론스타에 적용되는) 은행법은 후자의 형태에 속해 취소해야 한다는 조항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다만 론스타가 로비에 개입했다든가, 특정 변호사 사무실에서 (로비)했다는 게 입증되면 (법 규정을) 고려할 필요없이 취소할 수 있는데, 감사원 감사는 물론 검찰 수사과정에서도 이런 사실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이 사건이 재판에 계류중인 상태여서 (금감위의 조치시한을) 명시하지 못했다"며 "법원에서 배임으로 결론난다면 금감위가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론스타 사건으로 이강원 당시 외환은행장과 변양호 재경부 금융정책국장 등 2명만 기소된 데 대해 "이 사건이 일개 은행장과 정부부처 국장의 의사결정으로 이뤄졌겠느냐에 대해 상당히 의문을 갖고 있었다"며 "성역없는 조사를 했지만 위에서 지시했거나 의사결정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다만 일련의 사법적 처리가 조금 미흡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감사원 감사의 문제점을 시인했다.
그는 당시 사건의 담당자였던 김석동 전 금감위 감독정책1국장이 재경부 차관으로 승진 임명된 것에 대해 "중간 감사발표 때 김 전 국장에게 여러 문제점이 있다고 발표했음에도 그같은 인사조치가 이뤄졌다"며 "그러나 이 문제를 놓고 인사권자(대통령)에게 얘기한 적은 없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