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냉전 재강화 노리는 세력들 결집중"
"6자회담, 상설협의제로 거듭나야"
김대중 전 대통령이 최근 한반도 정세와 관련, "북핵문제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국제정치 기류는 냉전의 해체는커녕 냉전의 재강화를 노리는 세력을 결집시키고 있다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며 "특히 최근 역사문제를 둘러싼 한중일 삼국의 복잡한 긴장관계는 국내정치의 이해관계와 결합되면서 폐쇄적인 민족주의를 자극함으로써 이 지역의 협력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김 전 대통령은 영문 종합정책저널 <글로벌아시아>(1일 창간)에 기고한 '아시아시대의 지역주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우려했다. <글로벌아시아>는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선생으로 불리는 문정인 전 동북아시대위원장이 편집장을 맡고 있다.
김 전대통령은 또한 "한반도 문제는 남북한 관계에 그치지 않고 아시아의 문제이자 세계의 문제이고, 한반도의 평화는 군사적 수준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번영과 인권 및 민주주의에도 직결되는 문제"라며 "6자회담의 틀이 북핵문제 해결에 국한된 임시적 회의가 아니라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 및 민주주의를 증진하기 위한 상설적인 다자간 협의체로 계속되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와 관련 "나는 1971년 야당의 대통령 후보로서 한반도의 4대국 안전보장론을 제안한 바 있고 당시 미국, 소련, 중국, 일본 등 4개국이 한반도에서 전쟁을 억지하고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는 제안이었다"며 "(당시)냉전논리와 남북대립의 현실이 권위주의 독재를 합리화시켜 주는 비민주적 구조를 타개하면서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해야 한다는 현실주의적 정책이었고 현재 북핵문제를 위한 6자회담은 바로 이때 내가 제안한 4대국에 남북이 추가된 형태와 동일하다"고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또한 "이 점은(6자회담 상설기구화는) 2006년 6월 17일 6.15 남북공동선언 6주년 기념으로 광주에서 열린 ‘2006 노벨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회의 선언문’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고 강조한 뒤, "이 자리에 참석한 노벨평화상 수상자와 수상단체 대표들은 아시아의 민주주의, 인권신장, 빈곤퇴치, 평화정착에 일치된 견해를 가졌고 이를 선언문에 반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은 이밖에도 "서구의 시각으로 아시아를 판단하는 근대 국제정치의 관성을 넘어서, 아시아의 시각으로 세계와 만나고 대화함으로써 비로소 아시아가 더욱 통합되고 진정으로 세계화될 수 있는 미래가 싹트고 있다"며 "특히 세계화의 물결이 거세지만 지역화의 필요성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고 튼튼한 지역화가 있어야 성공적인 세계화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전 대통령은 영문 종합정책저널 <글로벌아시아>(1일 창간)에 기고한 '아시아시대의 지역주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우려했다. <글로벌아시아>는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선생으로 불리는 문정인 전 동북아시대위원장이 편집장을 맡고 있다.
김 전대통령은 또한 "한반도 문제는 남북한 관계에 그치지 않고 아시아의 문제이자 세계의 문제이고, 한반도의 평화는 군사적 수준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번영과 인권 및 민주주의에도 직결되는 문제"라며 "6자회담의 틀이 북핵문제 해결에 국한된 임시적 회의가 아니라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 및 민주주의를 증진하기 위한 상설적인 다자간 협의체로 계속되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와 관련 "나는 1971년 야당의 대통령 후보로서 한반도의 4대국 안전보장론을 제안한 바 있고 당시 미국, 소련, 중국, 일본 등 4개국이 한반도에서 전쟁을 억지하고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는 제안이었다"며 "(당시)냉전논리와 남북대립의 현실이 권위주의 독재를 합리화시켜 주는 비민주적 구조를 타개하면서 한반도에서 전쟁을 종식해야 한다는 현실주의적 정책이었고 현재 북핵문제를 위한 6자회담은 바로 이때 내가 제안한 4대국에 남북이 추가된 형태와 동일하다"고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또한 "이 점은(6자회담 상설기구화는) 2006년 6월 17일 6.15 남북공동선언 6주년 기념으로 광주에서 열린 ‘2006 노벨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회의 선언문’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고 강조한 뒤, "이 자리에 참석한 노벨평화상 수상자와 수상단체 대표들은 아시아의 민주주의, 인권신장, 빈곤퇴치, 평화정착에 일치된 견해를 가졌고 이를 선언문에 반영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은 이밖에도 "서구의 시각으로 아시아를 판단하는 근대 국제정치의 관성을 넘어서, 아시아의 시각으로 세계와 만나고 대화함으로써 비로소 아시아가 더욱 통합되고 진정으로 세계화될 수 있는 미래가 싹트고 있다"며 "특히 세계화의 물결이 거세지만 지역화의 필요성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고 튼튼한 지역화가 있어야 성공적인 세계화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