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구제역 창궐은 정부의 판단 착오 때문"
"환경부, 같이 매몰에 참여하고도 큰 문제인 것처럼 발표"
김 지사는 이날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기우회 정례회에서 도정현안설명을 하며 "백신 처방이 늦어지며 경기도 소의 13%, 돼지의 71%가 죽었다. 돼지는 소보다 1천배 이상 바이러스가 빨리 전파돼 초기에 전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또 "경기도예산으로 차병원과 함께 구제역 진단키트를 개발하려고 했지만 구제역 균주 확보가 안된다"며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구제역 검진기능 독점을 풀어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경쟁을 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는 "구제역으로 환경부문에 불안한 것이 많아졌는데 이는 팔당상수원과 지하수 오염 등에 대해 환경부가 자꾸 거론하고 국민에게 혼란을 끼치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15일 시.도 단체장 영상회의에서 "언론에서 팔당상수원이 큰 문제인 것처럼 보도됐으나 도의 조사결과 지하수.음용수 수질의 영향은 아직 없다"며 "환경부에서 같이 매몰에 참여하고도 큰 문제인 것처럼 발표했다"고 불만을 털어놨었다.
김 지사는 또 서로 다른 농림수산식품부와 환경부의 구제역 매몰 지침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계훈(53) 서울시립대 교수는 지난 22일 경기도가 주최한 포럼에 참가, "농림부는 '집단가옥.수원지.하천 및 도로에 인접하지 아니한 곳으로서, 사람 또는 가축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장소'로 매몰장소를 정하도록 했지만 환경부는 '지하수.하천.수원지.집단가옥으로부터 이격(하천.수원지 등과 30m이상)한 곳'으로 지침을 내려보내는 등 일부 지침이 상충돼 혼란을 빚고 있다"고 밝혔었다.
김 지사는 "축산허가제나 등록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특히 팔당지역은 일정한 위생상태를 갖추지 않으면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