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정부 뭐하냐. 이러다간 구제역 뚫리는 건 시간문제"
"일선에만 부담 집중", "소독기 가동 않고 생석회도 동나"
6일 <부산일보>에 따르면, 5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구제역 재난안전 긴급대책회의'는 방역체제의 문제점에 대한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
대책회의에는 김두관 도지사를 비롯한 경남도 관계자와 18개 시·군의 부시장·부군수, 경남경찰청과 육군 39사단 관계자 등 관계기관이 모두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선제적인 백신 접종 외에 유사시 신속한 살처분을 위한 대규모 매몰지 확보, 군 병력과 장비 지원 등을 논의해 구제역의 남하에 대한 경남도의 절박한 상황 인식을 드러냈다.
이날 회의에서 부시장·부군수들은 앞 다퉈 현 방역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양산시 박수조 부시장은 "태풍 등 자연재해의 경우 모든 유관기관이 동원돼 일사불란하게 상황 분석과 복구, 지원이 진행되는 것에 비해 이번 구제역은 국가위기경보가 '심각' 수준으로 격상됐음에도 일선 행정기관에만 모든 부담이 집중되고 있다"며 고속도로 IC 방역통제초소 운영에 대한 도로공사의 지원 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남해고속도 산인IC와 서마산IC, 창원터널 진출입로에 방역통제초소가 설치되지 않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고, 경남도내 시·군 103개소에 설치된 방역초소의 미숙한 운영도 도마에 올랐다. 경남도 관계자는 "방역초소 근무자들이 추운 날씨를 이유로 차량 소독기를 가동하지 않고 생석회만 길에 깔아두는 사례가 많다"면서 철저한 방역을 요구했다.
김해시 박종규 부시장, 의령군 강효봉 부군수 등은 소독액 살포로 인한 도로 결빙을 막기 위한 염화칼슘과 축사 소독 등에 필요한 생석회가 공급난을 겪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석회는 전국적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주문에서 공급까지 보름이나 걸리고 있다. 선제적인 백신 접종에 대해서는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설 명절에 판로가 막혀 지역 축산업이 붕괴될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아 추후 다시 논의키로 했다.
임채호 행정부지사는 "구제역이 도내에 유입될 경우 그 피해와 부작용은 상상하기조차 싫을 정도"라며 "방역대책을 소홀히 해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해당 시·군에 반드시 행정적·재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