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한나라 온건세력과 결합이 가장 중요"
"이젠 '빠' 갖고선 안 통해. 국가전략으로 승부해야"
한나라당 탈당파인 김부겸 열린우리당 의원이 향후 정계개편 과정에 무엇보다 한나라당내 온건 보수세력과의 결합이 중요하다고 주장, 한나라당 온건파들의 대응이 주목된다.
"한나라당 대선후보, 보수강경이 되면 온건파 고민 커질 것"
김 의원은 4일 당 홈페이지에 띄운 '정계개편의 의미?'라는 글을 통해 "여당의 국정 주도력은 상실 된지 오래며, 당을 이대로 끌고 갈 수는 없다는 생각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며 "열린우리당을 포함한 비(非)한나라 진영의 정계개편은 어떤 형태로든 될 것이다.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이 너무나 낮기 때문"이라며 정기국회 정계개편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였다.
김 의원은 "이미 고 건 전 총리가 합류 의사를 밝혔고 민주당 일부에서도 중도 정당 재규합의 당위성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해선 논란이 있을 게 없다"며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나라당내 일부 온건 보수 세력"이라며 한나라당 온건 보수세력과의 신당 창당을 주장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높은 지지율에 안주해 안 그래도 점점 더 우경화되고 있는 데 더해 만약 대선 후보가 강경 보수주의자로 결정된다면 이들은 원건, 원치 않건 거취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될 것"이라며 "툭 하면 당내 수구 냉전세력들로부터 노골적인 야지와 이지메를 당하는 게 바로 그 조짐으로, 한나라당에 있는 합리적 보수주의 정치인들이 중도정당으로 합류하는 것이 한국 정치 발전에 합당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즉 한나라당 대선후보 자리를 박근혜 전 대표가 차지할 경우 그동안 박 전대표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한나라당 소장파 등을 적극 끌어들여 정계 개편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위 '빠'라는 세력 동원한 선거전략 애초 하지 말아야"
김 의원은 또 향후 대선과정에 노사모 등을 통한 대선전략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의원은 우선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의 실패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참여정부엔 국가 발전 전략이 빈약했고 열린우리당엔 지도력이 빈약했기 때문"이라며 "정작 중요한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선 제대로 보여주는 게 없으면서 말만 시원시원하게 하려고 하니 당연히 듣게 되는 욕"이라고 자성했다.
김 의원은 이에 따라 "요컨대 이제 바람으로 정치하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소위 ‘빠’라고 불리는 적극적 지지 세력을 동원하는 방식의 선거 전략은 애초에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바람정치'의 종언을 선언했다.
그는 "이번 대선에선 보수진영 역시 만만치 않은 시민사회내 지지 세력을 동원하려 들 것"이라며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벌어졌던 숱한 집회에 운집했던 사람들이 바로 그 잠재적 대상이다. 지금 박근혜 대표, 이명박 시장 전부 만만찮은 팬 클럽을 가지고 있다. 거기다 대단히 행동적인 보수 단체들이 이미 대선 개입 의지를 천명하고 있다"며 더이상 여권의 바람정치가 전유물이 될 수 없음을 지적했다.
그는 "대신 국가 발전 전략을 놓고 치고 받는 선거로 가야 한다"며 "보수든 진보든, 우파든 좌파든 무슨 상관이겠냐? 쥐만 잘 잡는다면.... 국민들이 바라는 건 바로 이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대선후보, 보수강경이 되면 온건파 고민 커질 것"
김 의원은 4일 당 홈페이지에 띄운 '정계개편의 의미?'라는 글을 통해 "여당의 국정 주도력은 상실 된지 오래며, 당을 이대로 끌고 갈 수는 없다는 생각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며 "열린우리당을 포함한 비(非)한나라 진영의 정계개편은 어떤 형태로든 될 것이다.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이 너무나 낮기 때문"이라며 정기국회 정계개편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였다.
김 의원은 "이미 고 건 전 총리가 합류 의사를 밝혔고 민주당 일부에서도 중도 정당 재규합의 당위성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해선 논란이 있을 게 없다"며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나라당내 일부 온건 보수 세력"이라며 한나라당 온건 보수세력과의 신당 창당을 주장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높은 지지율에 안주해 안 그래도 점점 더 우경화되고 있는 데 더해 만약 대선 후보가 강경 보수주의자로 결정된다면 이들은 원건, 원치 않건 거취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될 것"이라며 "툭 하면 당내 수구 냉전세력들로부터 노골적인 야지와 이지메를 당하는 게 바로 그 조짐으로, 한나라당에 있는 합리적 보수주의 정치인들이 중도정당으로 합류하는 것이 한국 정치 발전에 합당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즉 한나라당 대선후보 자리를 박근혜 전 대표가 차지할 경우 그동안 박 전대표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한나라당 소장파 등을 적극 끌어들여 정계 개편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위 '빠'라는 세력 동원한 선거전략 애초 하지 말아야"
김 의원은 또 향후 대선과정에 노사모 등을 통한 대선전략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의원은 우선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의 실패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참여정부엔 국가 발전 전략이 빈약했고 열린우리당엔 지도력이 빈약했기 때문"이라며 "정작 중요한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해선 제대로 보여주는 게 없으면서 말만 시원시원하게 하려고 하니 당연히 듣게 되는 욕"이라고 자성했다.
김 의원은 이에 따라 "요컨대 이제 바람으로 정치하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소위 ‘빠’라고 불리는 적극적 지지 세력을 동원하는 방식의 선거 전략은 애초에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바람정치'의 종언을 선언했다.
그는 "이번 대선에선 보수진영 역시 만만치 않은 시민사회내 지지 세력을 동원하려 들 것"이라며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벌어졌던 숱한 집회에 운집했던 사람들이 바로 그 잠재적 대상이다. 지금 박근혜 대표, 이명박 시장 전부 만만찮은 팬 클럽을 가지고 있다. 거기다 대단히 행동적인 보수 단체들이 이미 대선 개입 의지를 천명하고 있다"며 더이상 여권의 바람정치가 전유물이 될 수 없음을 지적했다.
그는 "대신 국가 발전 전략을 놓고 치고 받는 선거로 가야 한다"며 "보수든 진보든, 우파든 좌파든 무슨 상관이겠냐? 쥐만 잘 잡는다면.... 국민들이 바라는 건 바로 이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