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측, <중앙일보> 문창극에 격노
문창극 "DJ, 불안감 있어 MB 비난한 것 아니냐"
DJ측 "병석에 있는 전직 대통령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없어"
최경환 비서관은 12일자 <중앙일보>에 실은 <문창극 대기자 칼럼 ‘마지막 남은 일’ 에 대한 반론보도문>을 통해 문창극 칼럼을 거론한 뒤, "<중앙일보>와 문 대기자에게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문 대기자가 제기한 내용들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김 전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전, 대통령 재임 시, 대통령 퇴임 후를 막론하고, 어느 시기 어느 경우에도 불법 비자금을 가진 적도 만들어 본 적도 없다. 만들려고 시도해 본 적조차도 없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를 막론하고 일체의 은닉 재산도 없다"고 반박했다.
최 비서관은 이어 "문 대기자가 김 전 대통령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기 위한 근거로 삼은 <월간조선>의 기사나 일부 인사들의 발언 등은 이미 전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언론들 스스로의 사과와 확인을 통해서였다. 또한 법원의 판결과 검찰의 공식 발표를 통해서였다"며 "문 대기자의 주장은 어떠한 근거도 없는 것이다. 김 전 대통령의 명예에 심각한 해악을 끼칠 뿐"이라고 거듭 문 대기자를 질타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첫째, 문 대기자는 칼럼에서 월간조선의 ‘비자금 3000억 조성’(2007년 1월호)보도를 문제 삼았는데, <월간조선>은 같은 해 10월호에 그 보도 내용이 사실무근이라는 내용의 반론문을 게재하고 사과했다"며 "<월간조선> 2005년 12월호에 ‘DJ 미국 비자금설’을 보도한 S기자는 이른바 김 전 대통령의 비자금 관리인으로 지목된 교포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당해 2007년 3월 검찰로부터 기소 처분됐고, 법원은 고소한 교포에게 승소판결을 내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주간동아>는 김 전 대통령의 2007년 5월의 독일 방문이 스위스 계좌와 관련이 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가 2007년 10월 16일자(606호)에 반론문을 게재하고 김 전 대통령에게 사과했다"며 "<일요서울>은 김 전 대통령의 비자금 조성, 노벨상 공작 의혹을 보도했다가 법원의 중재로 2009년 3월 23일 정정보도문을 게재하고 사과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한나라당의 주성영 의원은 김 전 대통령의 100억원 CD 의혹을 제기했으나 2009년 2월 검찰은 김 전 대통령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그럼에도 문 대기자는 이런 객관적이고 분명한 사실을 외면했다. 더욱이 병석에 계신 전직 대통령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없는 행위"라고 질타한 뒤, "<중앙일보>가 김 전 대통령의 명예와 인격을 훼손한 데 대해 깊은 유감의 뜻을 표명한다"며 거듭 <중앙일보>를 질타했다.
문창극 "DJ, 불안감 있어 MB 비난한 것 아닌가"
앞서 문창극 대기자는 4일자 칼럼 <마지막 남은 일>을 통해 "김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비자금 조성과 재산 해외 도피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됐다"며 <월간조선> 2006년 9월호, 2007년 1월호, 2009년 3월호 기사를 열거한 뒤, "이 사건의 경우 이상한 점은 이렇듯 많은 의혹 제기에도 불구하고 검찰은 물론 당사자 쪽에서도 일절 반응이 없다는 점이다. 검찰뿐이 아니다. 주류 언론에서조차 이 문제는 제기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김 전 대통령을 겨냥, "그는 최근 현실 정치에 대해 여러 코멘트를 했다. ‘이명박 정부는 독재정권이다, 독재에 항거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는 등 전직 대통령으로서는 선을 넘은 발언을 자주 해 왔다"며 "나는 그런 발언을 보면서 혹시 그의 심저에 무슨 불안감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라는 발언까지 서슴치 않았다.
그는 이어 "불안한 마음은 언제나 과민하고 과대한 반응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라며 "어떤 사람이 만일 뚱뚱하다면 비록 남이 보는 앞에서는 음식을 먹지 않았어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식탐을 했으리라고 여긴다. 그가 아무리 다이어트를 했다고 주장해도 믿기 어렵다. 하물며 구체적인 정황을 들어가며 제기된 사안이 왜 지금까지 묻혀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우리 사회의 건강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라며 비자금 의혹을 기정사실화하기도 했다.
그는 "그러나 이제는 너무 늦었다. 사경을 헤매는 당사자에게 이를 밝히라고 요구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며 "이 문제는 이제 전적으로 가족 손에 달렸다고 본다. 그가 이루어 놓은 업적에 버금갈 수 있는 깨끗한 마무리가 있어야겠다. 그가 늘 외쳤던 ‘정의가 강물같이 흐르는 나라’를 위해서 말이다"라며 김 전 대통령 가족의 양심선언을 촉구하는 것으로 글을 끝맺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