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방송단체 "MBC 일산비리 폭로하겠다"
MBC "완전 사실무근" vs 방개혁 "검찰 수사 의뢰 방침"
방개혁 "MBC 일산방송센터 비리, 검찰에 고발 검토"
방송개혁시민연대(공동대표 김강원, 임헌조)는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오는 27일 오후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MBC 일산제작센터 의혹’과 관련하여 접수된 제보에 대해 설명하고 제보를 검토한 1차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방개혁은 "지난 18일 MBC 공정방송노동조합이 성명을 통해 ‘MBC 일산제작센터 의혹’을 제기하자 수명의 제보자에 의해 여러가지 제보가 접수되었고 제작센터 건축과정에서 작성된 문건을 제보하겠다는 제보자도 확보된 상태"라며 "'방개혁'은 접수된 제보들이 ‘MBC공방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상당히 중요한 증거들로 보이며 필요할 경우 MBC관련자들을 검찰에 고발하는 방안도 고려한다"고 덧붙였다.
MBC 공정방송노조 "시세차익만 800억"
방개혁이 의혹의 근거로 인용한 것은 부장급 이상 100여명의 MBC 선임자들로 구성된 공정방송노조(정수채 위원장)의 지난 18일 성명이다. 공정노는 방개혁 발기인 참여단체이기도 하다.
공정노는 성명을 통해 "일산제작센터는 시공사 선정, 용도변경, 정산 처리 등에서 상당한 근거가 있는 숱한 의혹들이 발견됐다"며 “의혹 해소를 위해 사법기관이 철저히 수사해줄 것을 요청한다”며 검찰수사를 촉구했었다.
MBC는 1994년 일산 호수공원 인근의 땅 약 1만5천평을 매입했다. 애초 ‘통신 촬영 및 관련 시설’이라는 권장 용도로 지정받았으나, 2004년 부지 3분의 1에 제작센터를 짓고, 나머지는 오피스텔·상가를 건설하도록 변경해 재허가를 받은 바 있다. 공정노는 "MBC가 방송용으로 분양 받은 땅 1만5천평중 1만평을 대기업 건설사에 넘기는 대신 1천200억원짜리 방송센터를 얻어 800억원의 시세차익을 편법으로 얻었고, 계약 과정에도 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공정노는 “시공사 선정, 용도 변경, 분양 과정, 정산 처리 등 모든 과정에서 다양한 제보가 쏟아졌다”며 “(MBC 직원들이) 건설사 측의 법인카드를 써가면서 인허가 업무를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공정노는 또 2006~2007년 제작센터의 방송 장비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 50~70%가 수의계약으로 이뤄졌고 ▶ 디지털 시대에 맞지 않는 구형 비디오 테이프 방식의 VCR을 구입했다고 주장했다.
MBC "사실무근, 공정노 등 인사조치하겠다"
하지만 공정노 주장에 대해 MBC는 관련 혐의를 강력 부인하며 정수채 공정노위원장 등에 대해 징계를 한다는 방침이다.
'디지털본부 간부' 일동은 공정노가 의혹을 제기한 18일 긴급 성명을 통해 "아무런 근거도 제시하지 않고 조금만 확인해 보면 사실이 아닌 것으로 규명될 사안들을 대단한 의혹인 것처럼 부풀렸다"며 "일산 제작센터 구축과정에서 수의계약은 여의도 설비와의 호환성, 경쟁기종 부재, 성능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뿐"이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구형 VCR을 구매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VCR 도입을 최소화하는 정책을 견지하고 있으며 당초 117대를 구입하기로 계획하였는데 비선형편집기를 도입하면서 실제로는 44대를 줄여 불가피한 73대만 구매했다"며 정수채 공정노 위원장 등에 대한 문책을 촉구했다.
MBC 일산방송센터 건설을 기획한 '건설기획단 직원'들도 다음날인 19일 성명을 통해 "투명한 일처리를 신조로 드림센터를 건설한 우리들에게 60년대식 사고로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기가 막힐 따름"이라고 비난했다. MBC 경영지원국 관재부원들도 20일 성명을 통해 '장비구입의 50∼70%가 수의계약'이라는 공정노 주장에 대해 "최근 2년간(2007∼2008년) 회사의 방송장비 구매실적을 집계해 보면 공정방송노조가 주장한 50∼70%보다 훨씬 낮은 비율인 35.8%를 수의계약으로 구매했고, 64.2%는 경쟁입찰을 통해 구매했다"고 반박했다.
논란이 일자 김세영 MBC 부사장도 지난 19일 노사협의회를 통해 “빠른 시일 안에 공방노 등에 대해 인사상 조치를 취하겠다”며 징계방침을 밝혔다. 인사조치는 빠르면 오는 27일 인사위원회에서 이뤄질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와중에 방개혁이 27일 기자회견을 통해 비리를 추가폭로하겠다고 맞불을 놓고 나서고 이들이 예고한대로 관련 의혹을 검찰에 고발할 경우 검찰이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돼 파문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