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매서운 칼바람...아파트값 폭락 가속화

강동 전지역, 1주새 5천만원씩 급락

금융-실물 동시불황 공포가 확산되면서 아파트값 낙폭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값은 0.21% 추가 하락하며 낙폭을 키웠다.

서울이 전주보다 0.05%포인트 떨어진 -0.32%를 나타냈고, 버블세븐지역과 신도시는 -0.34%, -0.22%씩 약세를 띠었다. 경기도는 전 지역이 모두 하락하면서 -0.26% 뒷걸음질쳤고, 인천은 지난주보다 -0.03% 떨어졌다.

특히 서울 재건축 단지들은 11.3대책에 불구하고 이번주 하락폭을 0.96%포인트 키우며 -1.32%가 떨어졌다.

재건축 단지가 밀집된 강동구(-1.99%)의 낙폭이 가장 커 고덕동과 상일동 일대 아파트값은 전 가구에 걸쳐 평균 5천만원씩 주저앉았다.

고덕동 M공인 대표는 “매수세가 전혀 없어 시세보다 2천만~3천만 원 정도 저렴해도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다”며 “급하게 집을 팔아야 하는 집주인들이 매도호가를 계속해서 하향 조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고덕동 한라시영 42㎡(13평형)는 한 주 만에 3억 8천500만 원에서 3억 3천만원으로, 상일동 주공6단지 59㎡(18평형)가 4억7천500만 원에서 4억1천500만 원으로 5, 6천만원씩 급락했다.

강남구(-0.51%) 역시 사정이 엇비슷해, 개포동 주공1단지 52㎡(16평형)의 경우 4천만 원이 빠지면서 9억6천만 원으로 밀려났고, 대치동 쌍용1차 102㎡(31평형)도 9억 6천500만 원에서 9억2천500만 원으로 낮아졌다.

신도시에서는 산본(-0.46%)의 낙폭이 가장 컸고, 이어 평촌(-0.35%), 분당(-0.20%), 중동(-0.16%), 일산(-0.08%) 순이었다.

경기도 역시 전 지역이 일제히 하락했다. 그 중 광명시가 한 주 만에 -2.14%가 폭락하면서 집값 하락세를 이끌었다. 용인시(-0.49%) 역시 상갈동 주공4단지 109㎡(33평형)와 상현동 성원상떼빌수지3차 181㎡(55평형)가 5천500만 원과 8천500만 원씩 하락해 각각 3억2천500만 원과 5억8천만 원으로 떨어졌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12 9
    루치

    찌라시들이 시장기능을 마비시킨다.
    찌라시들이 시장기능을 마비시킨다.
    이***, 프***, 파***,머****,헤****,뷰***.....
    부동산에 관련된 경쟁적이고 자극적인 기사를 쓰는 찌라시의
    대표적인 매처들이다.
    어떻게든 부동산 포탈의 대문을 장식하려고
    폭락, 진흙탕, 냉냉, 수직하강, 등 극한의 용어를 구사하며
    부정적 기사를 토해낸다.
    시장은 시장자체의 기능으로 움직여야함에도
    이런 찌라시들의 심리적 공격을 받아
    시장이 망가져 간다.
    책임자의 말한마디가 몇천억의 변동을 자아내는 주식시장을 보면 알 수 있을것이다.
    위에 열거된 찌라시에 근무를 하면 대우는 메이저뉴스메이커보다 대우가 약할것으로
    판단되고 서울 시민의 50%이상이 세입자인점을 감안하면
    찌라시 기자들은 무주택자일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 폭락이 집을 살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찌라시 기자들은 그렇게 시장에 찬물을 끼엊는 기사를 써대는것이다.
    부동산 포탈 근무자가 부동산 전문가인가?
    그들은 그렇게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없는 컴쟁이들일 뿐이다.
    그들은 기자의 요구대로 말하고 기사에 그 부동산 포탈이름만 들어가면 그만이다.
    그들이 무슨 전문 조사기관도 아니고 부동산에서
    올리는 미끼매물을 근거로 기사를 써대는것이다.
    찌라시들이 측은하게 느껴진다.

  • 15 10
    황소

    겨우 0.2% 떨어진걸 가지고 폭락이라고 표현한다면...
    반값으로 떨어진 아파트는 어떻게 표현할라요?
    폭락이라길래 얼마나 내렸나 했더니 겨우 0.몇 퍼센트가지고
    호들갑을 떠내요

  • 17 11
    지난10년

    또 신도시 보상금 100조 풀어라
    5% 떡값만 받아도 5조네.
    ㅋㅋㅋ

  • 26 11
    111

    필요한 요소.......감원이 시작하면......
    내년쯤 하반기쯤가면 대기업에서도 본격적으로 감원시작.. ..
    금융기관 및 중소기업은 이미 시작하거나
    도산하는업체 급증.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