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한달새 1만3천여채 급증, 총 16만채 돌파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급증, 미분양대란 심화
미분양주택이 한달새 1만3천여가구가 급증 16만가구를 돌파하는 등, 미분양 대란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3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7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주택은 16만595가구로 전월의 14만7천230가구보다 1만3천365가구, 9.1% 증가했다. 이는 미분양 집계를 시작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로 지금까지는 1995년 10월의 15만9천471가구가 최고였다. 건설업계는 그러나 신고를 하지 않은 물량까지 합할 경우 실제 미분양 아파트가 25만가구를 넘는다고 밝히고 있다.
지난 4월과 5월, 2개월 연속 감소했던 미분양주택은 정부가 6.11미분양대책을 발표하며 미분양 아파트 신고를 유도한 결과 6월에 1만9천60가구가 늘어난 데 이어 7월에도 큰 폭으로 늘어났다.
미분양주택은 민간주택이 15만9천526가구, 공공주택이 1천69가구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만2천977가구, 지방 13만7천618가구이다. 수도권의 경우 전월보다 21.4% 늘어나는 등, 최근 미분양아파트 물량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악성 미분양'인 준공후 미분양주택도 4만562가구로 전월보다 15.3%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2만1천378가구로 가장 많고 경기도는 한달새 3천781가구나 늘어나면서 2만514가구에 이르렀다. 이어 경남(1만7천832가구), 충남(1만6천646가구), 경북(1만5천177가구), 부산(1만3천612가구) 등의 순이다.
규모별로는 85㎡ 초과의 중대형이 12.9% 늘어나 8만6천386가구가 됐고 60㎡초과-85㎡이하와 60㎡이하는 각각 5.1%늘어난 6만6천206가구, 4.2% 늘어난 8천3가구로 집계됐다.
3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7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주택은 16만595가구로 전월의 14만7천230가구보다 1만3천365가구, 9.1% 증가했다. 이는 미분양 집계를 시작한 1993년 이후 역대 최고로 지금까지는 1995년 10월의 15만9천471가구가 최고였다. 건설업계는 그러나 신고를 하지 않은 물량까지 합할 경우 실제 미분양 아파트가 25만가구를 넘는다고 밝히고 있다.
지난 4월과 5월, 2개월 연속 감소했던 미분양주택은 정부가 6.11미분양대책을 발표하며 미분양 아파트 신고를 유도한 결과 6월에 1만9천60가구가 늘어난 데 이어 7월에도 큰 폭으로 늘어났다.
미분양주택은 민간주택이 15만9천526가구, 공공주택이 1천69가구이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만2천977가구, 지방 13만7천618가구이다. 수도권의 경우 전월보다 21.4% 늘어나는 등, 최근 미분양아파트 물량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악성 미분양'인 준공후 미분양주택도 4만562가구로 전월보다 15.3%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2만1천378가구로 가장 많고 경기도는 한달새 3천781가구나 늘어나면서 2만514가구에 이르렀다. 이어 경남(1만7천832가구), 충남(1만6천646가구), 경북(1만5천177가구), 부산(1만3천612가구) 등의 순이다.
규모별로는 85㎡ 초과의 중대형이 12.9% 늘어나 8만6천386가구가 됐고 60㎡초과-85㎡이하와 60㎡이하는 각각 5.1%늘어난 6만6천206가구, 4.2% 늘어난 8천3가구로 집계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