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북 전쟁 발발, 강남 '임대아파트 기피'가 기폭제
노원구청장, 강남구청장에 "강북 슬럼화 고착시키려 해"
노원-강남구 간에 전쟁이 붙었다. 서울 노원구의 이노근 구청장이 7일 강남구의 맹정주 구청장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두사람 모두 한나라당 소속 구청장들. 강남에 임대주택을 짓는 문제가 발단이 됐다. 외형상으론 두 구청장간 전쟁이나, 본질적으론 강남-북 전쟁의 성격이 짙어 귀추가 주목된다.
맹정주 강남구청장은 지난 3일 기자간담회에서 강남 수서 2지구에 임대주택을 짓는 것과 관련, "그린벨트를 해제하면서까지 주민들이 반대하는 임대주택을 조성할 필요는 없다"며 "수서 2지구에 건립될 예정인 1천133가구의 임대주택을 강남구 관내에서 진행 중인 재건축 아파트나 역세권에 짓는 것이 교통 편리성 측면 등에서 볼 때 임대주택에 입주할 사람에게도 훨씬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의 수서 2지구는 임대주택 건설에 주민들이 반발하고 공정택 서울시교육감도 반대한다는 공문을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보내 얼마 전 서울시교육감 선거때 뜨거운 논란이 됐던 문제지역이다. 논란이 일자 국토해양부는 직접 개발권한을 행사키로 했다.
이에 대해 이노근 노원구청장은 7일 `임대주택과 관련한 입장문'이란 제목의 특별성명을 통해 "강남지역 한 자치구의 임대아파트 건립 불가 입장은 강남.북 간 부익부 빈익빈을 가속화시키는 것"이라며 "임대아파트를 개발제한구역에 짓는 것에 반대하며 역세권 등 관내 다른 곳에 건립한다는 주장은 강남지역에 임대아파트를 아예 건립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 구청장은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면서 그에 대한 부담으로 일정 비율의 임대주택을 의무적으로 짓도록 하는 것은 그동안 서민들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민적 논의와 전문가의 심층 연구에 따른 결과"라며 "노원구는 서울에서 가장 많은 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계동 104마을 등에 임대주택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노원구에는 서울 임대아파트 24%가 밀집돼 있다.
이 구청장은 "강북지역에 비해 교육.문화.도시 인프라가 잘 형성된 강남지역에서 임대아파트의 특정지역 건립 불가 입장을 들고 나온 것은 강북 지역의 슬럼화를 더욱 가속화시키려는 저의로밖에 해석하지 않을 수 없다"며 "만일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계속 강북권 지역에 임대주택을 전가하는 결과가 초래된다면 강북권 자치단체들은 자구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력 경고했다.
맹 강남구청장은 이에 즉각 반박성명을 통해 "강남구는 국민임대주택 100만호 건설계획에 따라 강남구에 배당된 약 6천 가구의 임대아파트를 고르게 소화할 것"이라며 "수서 임대아파트 문제는 강북 대 강남의 선정적 정치논리로 몰고 갈 것이 아닌 정책 사안"이라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그는 "서울시내 임대아파트의 10%에 이르는 4개 단지 약 8천가구가 밀집돼 있는 수서 2지구에 임대아파트를 추가 건립하려는 것이야말로 저소득층 밀집을 초래해 슬럼화를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맹정주 강남구청장은 지난 3일 기자간담회에서 강남 수서 2지구에 임대주택을 짓는 것과 관련, "그린벨트를 해제하면서까지 주민들이 반대하는 임대주택을 조성할 필요는 없다"며 "수서 2지구에 건립될 예정인 1천133가구의 임대주택을 강남구 관내에서 진행 중인 재건축 아파트나 역세권에 짓는 것이 교통 편리성 측면 등에서 볼 때 임대주택에 입주할 사람에게도 훨씬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의 수서 2지구는 임대주택 건설에 주민들이 반발하고 공정택 서울시교육감도 반대한다는 공문을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보내 얼마 전 서울시교육감 선거때 뜨거운 논란이 됐던 문제지역이다. 논란이 일자 국토해양부는 직접 개발권한을 행사키로 했다.
이에 대해 이노근 노원구청장은 7일 `임대주택과 관련한 입장문'이란 제목의 특별성명을 통해 "강남지역 한 자치구의 임대아파트 건립 불가 입장은 강남.북 간 부익부 빈익빈을 가속화시키는 것"이라며 "임대아파트를 개발제한구역에 짓는 것에 반대하며 역세권 등 관내 다른 곳에 건립한다는 주장은 강남지역에 임대아파트를 아예 건립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 구청장은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면서 그에 대한 부담으로 일정 비율의 임대주택을 의무적으로 짓도록 하는 것은 그동안 서민들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민적 논의와 전문가의 심층 연구에 따른 결과"라며 "노원구는 서울에서 가장 많은 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계동 104마을 등에 임대주택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노원구에는 서울 임대아파트 24%가 밀집돼 있다.
이 구청장은 "강북지역에 비해 교육.문화.도시 인프라가 잘 형성된 강남지역에서 임대아파트의 특정지역 건립 불가 입장을 들고 나온 것은 강북 지역의 슬럼화를 더욱 가속화시키려는 저의로밖에 해석하지 않을 수 없다"며 "만일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계속 강북권 지역에 임대주택을 전가하는 결과가 초래된다면 강북권 자치단체들은 자구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력 경고했다.
맹 강남구청장은 이에 즉각 반박성명을 통해 "강남구는 국민임대주택 100만호 건설계획에 따라 강남구에 배당된 약 6천 가구의 임대아파트를 고르게 소화할 것"이라며 "수서 임대아파트 문제는 강북 대 강남의 선정적 정치논리로 몰고 갈 것이 아닌 정책 사안"이라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그는 "서울시내 임대아파트의 10%에 이르는 4개 단지 약 8천가구가 밀집돼 있는 수서 2지구에 임대아파트를 추가 건립하려는 것이야말로 저소득층 밀집을 초래해 슬럼화를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