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택담보대출 금리 마침내 9% 돌파

은행돈 빌려 집 장만한 중산층-서민 등 휘어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최고 연 9%를 넘어섰다.

시중금리가 국제유가의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전망 등으로 급등세를 보이면서 주택대출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변동금리형 주택대출의 금리도 상승세를 재개할 기미여서 서민 대출자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2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번 주 초 3년 고정형 주택대출의 금리를 7.55~9.05%로 고시해 지난 주초에 비해 0.12%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달 13일에 비해 1.00%포인트 급등하면서 9%를 돌파했다.

최근 최저금리가 8%를 넘어선 하나은행의 경우 8.10~8.80%로 고시하면서 지난 주 초에 비해 0.10%포인트 높였다. 지난 달 6일 이후 근 두달 간 상승폭이 0.96%포인트에 달하고 있다. 신한은행도 0.10%포인트 높은 7.40~8.80%로 고시했다.

국민은행은 7.14~8.64%로 0.0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달 6일에 비해 0.91%포인트 급등했으며 대출금리 체계를 변경한 2005년 4월에 비해서는 최고 금리가 2.30%포인트 상승했다. 외환은행과 기업은행은 각각 7.42~8.12%와 6.87~8.33%로 0.05%포인트와 0.04%포인트 높였다.

주택대출 고정금리가 급등한 것은 기준 금리가 되는 은행채(신용등급 AAA급 3년물 기준) 금리가 국제유가의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와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 등으로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4월말 5.47%이던 은행채 금리는 지난 23일 6.49%까지 치솟기도 했다.

시중금리 상승이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에도 영향을 주면서 한동안 안정세를 보이던 변동금리형 주택대출의 금리도 꿈틀대고 있다.

국민은행은 이번 주 3개월 변동형 주택대출의 금리를 6.13~7.63%로 고시하며 지난 주에 비해 0.01%포인트 인상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도 6.27~7.77%와 6.37~7.77%로 0.01%포인트 높였다.
연합뉴스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6 27
    ㅋㅋ

    전설들이 사라지려나?
    대출받아 아파트 여러채 사서
    성공 구라 떠들던 거품족들 터지려나?

  • 21 42
    대한남미공화국

    이명박의 정책의 골자
    대운하, 공기업 민영화, 교육정책, 소고기 수입등등..
    요즘 벌어지는 각종 이명박 정권의 정책을 논문쓰듯 분석할 필요가 없다.
    결론은 서민을 빈민으로 만들어 국민들의 의식 수준을 떨어뜨리려는 것이다.
    상위 계층만 잘 살면 되는 인도나 남미처럼.
    국민들은 그저 먹고 살기에 바빠 정치적인 요구는 할 엄두도 못내고.
    가진자들은 영원히 해처먹는 그런 나라를 만들기 위한 포지셔닝이다.
    이게 바로 이명박 정책의 핵심 포인트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