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경실련 “주공, 의왕서 택지비 부풀려”

“의왕청계지구, 장지.발산보다 2배 높아”

대한주택공사가 지난 6일 분양원가 공개항목이 61개로 확대된 주택법 개정 이후 처음으로 공개했던 경기 의왕청계지구 아파트가 택지비를 부풀려 분양가에서 폭리를 취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제정의실천연합은 22일 “주택공사의 의왕청계지구 아파트의 분양원가 내역을 SH공사의 장지.발산지구를 비교한 결과 의왕청계지구의 분양원가가 평당 평균 4백11만원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경실련의 분양원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공의 의왕청계지구는 3.3㎡(평)당 조성원가에서 서울 장지.발산지구의 절반 수준에 그쳤지만 3.3㎡당 분양원가는 반대로 2배 가량 높았다.

경실련은 이에 대해 주공이 택지조성 이후 택지비, 건축비를 부풀리는 방식으로 전형적인 분양가 폭리를 취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경실련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주공는 의왕청계지구의 택지비로 용지보상비 1천3백85억원, 택지조성비 9백69억원 등 3.3㎡당 2백30만원을 들였다.

반면 서울 SH공사의 장지지구는 용지보상비 6천1백12억원, 택지조성비 2천2백35억원으로 3.3㎡당 4백27만원을, 발산지구는 용지보상비 3천5백43억원, 택지조성비 1천6백88억원으로 3.3㎡당 2백88만원을 들여 의왕청계지구보다 비싸게 땅을 사들였다.

그러나 이후 분양가를 포함하는 분양원가 택지비에서는 의왕청계지구가 3.3㎡당 1천96만원으로 장지지구(7백63만원), 발산지구(4백90만원)보다 최고 6백만원 이상 높았다.

건축비와 간접비에서도 의왕청계지구가 장지.발산지구보다 높게 책정됐다. 청계지구는 토목·건축·기계설비 등 건축비와 설계·감리비 등 간접비에서도 3.3㎡당 4백39만원으로 장지지구(3백82만원), 발산지구(355만원)보다 높았다.

경실련은 “경기도 지역인 의왕청계지구가 서울 강남권의 장지지구보다 택지비가 높게 책정된 것은 전형적인 택지비 부풀리기를 통한 폭리를 취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택공사 측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감정평가기관의 평가액대로 주택법에 근거해 공급가격을 결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47 23
    당연

    애 찬조금 1억 내려면
    찬조금 안주면 주공 사원 애들이
    얻어맞거든.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