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급증세가 계속 이어지면서 12만가구도 돌파, 건설업체 연쇄도산 및 이에 따른 금융업계 부실화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
수도권에서 미분양 대거 발생
14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1월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12만3천371가구로 집계돼 1개월새 다시 1만1천117가구(9.9%) 늘어났다. 작년 12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만가구이상씩 증가한 것으로 외환위기 발발 직전인 1996년 8월(12만3천245가구) 이후 처음으로 12만가구를 돌파하면서 그해 7월(12만7천537가구)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특히 악성인 '준공후 미분양'이 1개월새 4천767가구(27.4%)나 증가, 2만2천162가구로 전체 미분양주택의 18.0%를 차지해 건설업계 위기감을 심화시켰다.
1월 증가분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7천100가구(48.6%)나 늘어 모두 2만1천724가구나 되면서 미분양 대란을 주도했으며 지방도 4천17가구(4.1%) 증가했다. 수도권의 미분양 급증은 고양의 식사.덕이지구의 분양 실패가 결정적 작용을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7천48가구 증가하면서 2만691가구가 됐으며 대구도 1천235가구 늘어난 1만3천434가구가 됐다. 경북도 1천854가구가 증가해 1만516가구가 됐다. 이에 반해 울산(6천922가구)과 부산(1만860가구), 경남(1만4천602가구) 등은 소폭 감소했다.
수도권에서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면서 건설업체 연쇄도산 우려를 심화시키고 있다. ⓒ연합뉴스 건설사 연쇄도산시 일부 저축은행도 파산 위기
미분양이 급증하면서 금융계에서는 그 여파로 일부 저축은행 도산 등 금융 부실화가 가속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특히 건설업계에 공사대금을 대준 이른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고 잇다.
특히 위기에 직면한 곳은 저축은행들. 저축은행들의 지난해말 기준 PF대출은 12조966억원으로 총여신 47조836억원의 25.7%에 이른다. 연체율은 지난해 6월말 13%대에 머물렀지만 올해 6월말에는 20%에 육박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3개월 이상 연체금액도 지난해 6월말 4조9515억원에서 6개월 만에 5조3478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지난해말 기준 BIS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인 곳으로 밝혀진 6개 저축은행의 파산이 우려되고 있다. 이미 PF대출 수천억원이 부실화 위기에 직면한 분당 저축은행은 지난달말 6개월 영업정지를 받았고, 지난 12일에는 한국신용정보평가가 토마토저축은행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Negative)’으로 하향조정했다.
금융감독원도 최근 ‘저축은행 PF대출 충당금 감독규정 개정안’ 시행시기를 올 6월말에서 내년 12월말로 연기했다. 당초 계획대로 PF대출 충당금을 강화할 경우 저축은행들의 연쇄 도산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신도시 등에 대규모 PF대출을 해온 은행권은 상대적으로 안전지대이나 적잖은 부실 발생이 불가피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시중은행 고위관계자는 "은행들도 지점별로 중소 건설사들을 상대로 수백억짜리 PF 대출을 해준 곳이 적지 않다"며 "이들 건설사가 부실화할 경우 잔비에 옷 젖는 격으로 은행들도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