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중앙일보> 1면 사진 '대오보' 해프닝

2년전 '제네바' 한파 사진이 '베이징' 폭설 사진으로 둔갑

<중앙일보>가 14일 1면에 '사진 특종'이 아닌 '사진 대오보'를 냈다.

<중앙일보>는 이날자 1면 상단 오른쪽에 자동차까지 온통 얼음으로 꽁꽁 얼어있은 사진을 싣고 "중국 후난 지역에 내린 폭설이 얼어붙은 모습이다. 길가에 주차된 차량들은 얼음조각이 됐고, 나뭇가지에는 호수에서 날린 물기가 얼어붙어 칼날 같은 얼음 잎을 달고 있다. 중국의 폭설이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보여주는 장면이다"라고 사진 설명을 달았다. 정말 실감나는 사진이었다.

그러나 이날 인터넷매체 <도깨비뉴스>는 문제의 <중앙일보> 사진에 대해 "이 사진은 중국에서 올해 초에 찍은 것이 아니다. 약 2년 전인 2005년 1월 26일 스위스 제네바 인근 레만호에서 촬영한 것"이라며 "이 사진은 도깨비뉴스의 2005년 12월 '美 뉴저지 투모로우의 전조인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미 네티즌들에게 알려진 바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도깨비뉴스>는 "당시 <도깨비뉴스>는 미국 뉴저지에 거주한다는 '카파푸마'님이 직접 촬영한 것이라며 웃긴대학에 올린 '꽁꽁 언 도시' 사진을 그와 협의해 소개했다"며 "그러나 독자들에 의해 이 사진이 1월 26일 스위스 제네바 인근 레만호에서 촬영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기사를 정정해서 다시 소개했다"고 2년전 상황을 밝히기도 했다.

<도깨비뉴스>는 사진의 출처가 해외 웹사이트인 스카이앤드서미트(skyandsummit.com)라며 여기에는 "1월 26일 지역 기상예보는 스위스에 큰 추위가 닥칠 것이라고 예보했다. 곧 호수 주변이 얼음으로 뒤덮혔으며 110km/h에 달하는 강풍이 불어 사람들은 산책할 엄두도 못 낼 정도였다"라고 설명돼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도깨비뉴스>는 "이 사진을 1면에 소개하며 중앙일보는 출처로 중국의 검색 포털사이트 '바이두닷컴'을 출처로 표기했다. 즉 중국의 포털에 네티즌이 올린 사진을 자세히 취재하지 않고, '폭설 때문에'라는 짐작만으로 1면에 실은 것으로 추측된다"고 꼬집었다.

<중앙일보>는 사진이 잘못된 것임을 시인하며 15일 정정기사를 싣기로 했다.

<중앙일보>의 14일자 사진ⓒ<중앙일보>

2년전 <도깨비 뉴스> 사진ⓒ<도깨비 뉴스>
임재훈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